지금까지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js에서 변수를 만들어서 저장했다 변수에 저장하게 되면 프로그램이 실행 될때만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되고 서버가 종료되면 메모리가 정리되며 저장했던 데이터들이 사라진다 이렇게 데이터가 사라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야
인스타그램 스키마 작성
Part 3은 Node.js 환경에서 SQL을 이용해 여러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Part 3의 목표는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고, 주어진 스키마를 구현할 수 있도록 SQL 문을 작성해야 합니다.Homebrew를 이용한 설치MySQL 서비스 시작MySQL 접속처음
필요한 데이터테이블이 여러개일때 JOIN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는 스프린트다 둘 이상의 테이블을 연결해서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이다테이블을 연결하려면 적어도 하나의 칼럼은 서로 공유되고 있어야 하고 Primary key 또는 Foreign key로 두 테이블을 연결
✅ MVC 디자인 패턴과 같이, 코드를 각각 다른 부분으로 나누어 작성해야 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Model, View, Controller가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MVC 란? (Model-View-Controller)개발 할 때 (모델-뷰
이번 스프린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 Cmarket은 배웠던 MVC 패턴에 맞게 만들어진 앱이다 각각의 패턴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를 생각하면서 스프린트를 진행하면 더 쉽게 풀어 나갈 수 있다 그리고 구현한 Cmarket이 계속적인 데이터를 가질 수 있게 배열, 객체의 인메
MYSQL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Sequelize라는 라이브러리를 배워보자Sequelize는 ORM 으로 분류된다 ORM 이란 ? 자바스크립트 객체와 데이터를 1:1로 맵핑해주는 도구 자바스크립트 코드만 쓰면 시퀄라이즈가 알아서 SQL로 바꿔준다 SQL언어
나머지 테스트케이스를 통과해보자!! 테스트케이스에 가보면 파일이 존재해야 하는 위치를 알려주고있다 이대로 폴더, 파일을 작성해주자 controllers/links/index.jsget과 post메소드가 존재해야 한다고 했기 때문에 일단 메소드를 작성해주자 메소드 작성
MongoDB
HTTPS(HTTP+Secure)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HyperText인 html을 전송하기위한 통신규약이다 여기서 Https 모듈은 웹서버에 SSL 혹은 TLS 암호화를 추가한다 기존의 http요청은 다른사람이 요청을 가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을 보낼 때 누가 요청을 보내는지 모르는 것이 큰 단점이다 요청을 보내는 ip 주소를 받아 올 수도 있겠지만 하나의 ip주소만 사용하는 곳도 있고 하나의 컴퓨터를 여러사람이 사용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걸로는 충분하지 않다이때 로그인을 구현하게 되면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이고 세션은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고 쿠키에는 데이터에 대한 아이디만 암호화된 상태로 부여한다 세션도 결국에는 쿠키에 유저정보를 담아 주는데 그냥 쿠키와 어떤 방법이 다른지 알아보자 ! 세션으로 유저정보와 장바구니 정보를 저장하려
1. 초기세팅 1) 환경 변수 설정 .env.example 파일이름을 .env로 바꾼 다음 비밀번호 작성 2)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env 파일에 적혀있는 데이터 베이스 이름대로 mysql 접속후 생성해주기 mkcert로 발급받은 https 인증서 두개를
세션 기반 인증은 서버에 유저정보를 담는 인증 방식이었다 서버에서는 제한된 정보를 유저가 요청할 때마다 정보를 줘도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서버가 가지고 있는 세션 값과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했다 이 확인 작업을 덜어 줄 수 있는 것이 토큰이다토큰 기반 인증 중 대표적인
JSON Web Token을 이용해서 토큰 방식 인증을 구현, https 서버를 구축한다1) https 서버를 이용하기 때문에 mkcert을 통해 받은 인증서를 서버 카테고리에 넣어준다 2).env 파일에 mysql 비밀번호를 넣어주고 ACCESS_SECRET과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