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dded Systems] 모터 ①

임수정·2024년 6월 14일
0

📝 Learning Log

목록 보기
27/47
post-thumbnail

📍 모터

📖 서보모터란?

  • 컨트롤러(정보처리회로, CPU)의 명령에 따라 매우 정밀하게 작동하고 센서의 피드백을 받아 보다 정밀하게 회전하는 것이 특징
  • 일반적으로 모터, 컨트롤러 및 센서가 포함된 간단한 조합
  • 구동시스템(피드백 회로)를 구축하고있는 모터를 사용하여 위치, 속도, 가감속도를 제어시키는 경우에 서보모터라고 부른다.




서보모터는 목표치로부터 일정 수준 벗어나게 되면, 목표치를 맞추기 위해 빠르게 정/역회전하여 제어, 그렇기때문에 일반적으로 서보모터에는 모터의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계측해 피드백 할 수 있도록 엔코더(각도 계측 센서)가 내장

📖 서보모터 특징

📖 위치피드백

엔코더(Encoder) 검출 특성에 따른 분류

  • Incremental(Encoder)
    • 절대 위치 판별 불가
    • 비교적 낮은 가격
    • 비교적 간단한 구조
  • Absolute(Encoder)
    • 절대 위치 상시 판별 가능
    • 비교적 높은 가격
    • 비교적 복잡한 구조

모터의 위치가 200mm 나가있는 상황에서 전원을 끄고 다시 전원을 켰을때

  • Incremental : 컨트롤러에서 200mm가 움직인 상태가 아닌 0mm로 시작을 하기 때문에 전원을 끄고 다시 시작하는 경우 호밍이 필요
  • Absolute : 모터의 위치가 200mm가 움직인 상태에서 전원을 끄고 다시 켰을 때 Absolute 엔코더는 항상 절대 위치 정보 출력

📖 폐회로 제어

엔코더 모터는 반드시 엔코더모터 구동드라이버에 의해 구동, 즉 폐회로(Close Looping)제어로 모터의 회전수나 위치를 제어
서보 모터 제어시스템은 토크 제어 시스템, 속도 제어 시스템 그리고 위치 제어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제어는 기본적으로 Close-Loop(폐회로) 제어 구성을 가지고 있음

  • 엔코더(Encoder) : 위치검출
  • 모터를 원하는 수치만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위치정보가 필요
  • 컨트롤러가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피드백 받아 축이 목적지에 정확히 도착하도록 제어하는 것

순서
① 지령이 실시간으로 서보 드라이브로 전달
② 위치, 속도, 토크제어로 적절한 파워를 모터로 전달
③ 모터 가동
④ 엔코더로부터 속도와 위치에 대한 피드백이 다시 서보드라이브의 위치, 속도 제어부로 전달하여 오차를 보상

📖 서보 모터 블럭도


명령장치로부터 제어목표값(위치, 속도, 기타)을 지시받고 검출기를 통해서 현재값(위치, 속도, 기타)을 검출하여 목표값 대비 현재값의 차이가 항상 작게 만드는 피드백 회로
피드백 시스템 위계 : 전류(토크)제어 → 속도 제어 → 위치 제어 순
제어 방식은 회전체 시스템의 구동 환경과 용도, 목적 및 모터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

📖 제어장치

  • 위치제어
    • 지정한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정지
    • 목표 위치에서 고정밀도로 정지 시키는 것 == 위치결정
    • 지령 펄스가 입력되어도 지령으로부터 다소 늦게 움직임
      == 편차 카운터에는 지연분의 펄스가 누적 보관 유지되고 있는 잔류 펄스 때문!
  • 속도제어
    • 부하의 크기/무게가 변동해도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싶을 때 등 상황에 맞춰 속도를 가감하는 제어
    • 모터의 회전 속도를 컨트롤하여 속도를 제어
    • 잔류 펄스가 속도 제어부에서 출력
    • 잔류펄스가 커지면 속도 지령이 커짐
  • 토크제어
    • 토크 : 회전축을 돌리려고 하는 힘
    • 부하의 크기가 변동해도 일정한 힘으로 움직이고 싶을 때 등 상황에 맞춰 힘을 가감하는 제어 시 사용

📖 서보모터 전류 신호

단상(220V) VS 3상(380V) 전기

가정용 전기 - 220V (단상 교류) / 점포, 공장, 사무실 등 - 380V (3상 교류)

상(Phase)이란?
전력을 만들어내는 전원을 의미
단상은 전원이 하나라는 뜻이고 3상은 전원이 3개라는 뜻

📖 전자기어비

전자기어비

  • 상위 제어기(PLC, 모션 컨트롤러)와 서보 드라이브가 위치제어 시 위치지령값을 통일 시키는 약속
  • 펄스(지령)당 이동거리의 비율, 또는 이동거리당 펄스(귀환)의 비율
  • 서보모터가 받는 상위 mcu 펄수 주파수를 증폭 또는 감소시키는 것
  • 모터의 펄스 수와 기계의 최소이동거리와 일치
  • 상위장치의 지령펄스 값과 서보모터 회전시 발생되는 엔코드의 피드백 펄스값이 서로 다른것을 일치시키기위한 기능

📖 리니어 스테이지

물체를 단일 모션 축으로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정밀 모션 시스템의 구성요소

스테이지(stage)란?
초기 위치에서 어떠한 위치로 이동을 시켜주는 장치

그중 직선 방향으로 움직이는 stage == 리니어 스테이지

리니어는 선형이라는 뜻이다. 리니어는 모터를 뚝 잘라 펼쳐놓은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리니어의 구조 역시 모터의 구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리니어 모터는 원형으로 움직이는 일반 모터와 달리 직선으로 움직인다.

📖 원점복귀

  • Increamental 엔코더의 위치검출

  • Increamental 엔코더의 호밍
    • 전원을 켰을 때는 현재 포지션이 0이기 때문에 호밍을 진행하면 움직이면서 홈센서를 찾게된다. 이때 모터 위치에 따라서 포지션도 함게 변화
      홈센서를 감지하고 첫번째의 Z펄스가 ON이 되면 현재 있는 위치를 원점으로 인식




profile
언어는 거들 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