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 IP 주소 하나를 공유하여 여러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장비
즉, 공인 IP 주소 하나를 공유기 자체에 입력/설정하면, 이 공유기에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모든 기기에는 사설 IP 주소가 자동으로 할당
공유기에 연결된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 기기는 각각 유일한 사설 IP주소를 갖지만, (공유기에 설정된) 공인 IP주소 하나를 통해 연결(공인 IP주소 공유)
공유기 자체에 부여되는 사설 IP 주소를 게이트웨이 주소(Gateway Address) 또는 라우터 주소(Router Address)라고 하고, 이 주소에 접속하면 해당 공유기의 설정을 확인하거나 변경 가능
LAN과 WAN의 중개자 역할
LAN(Local Area Network)
- 특정 공간에 형성되는 지역 네트워크
- LAN 내부에서만 유효한 네트워크라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싶다면 공유기를 통해 유/무선으로 접속 해야함
WAN(Wide Area Network)
- 전 세계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광역 네트워크(쉽게 말하면 인터넷)
IP Address
- 인터넷 상으로 연결된 컴퓨터들 사이에서 서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주소
public IP address(공인 IP 주소)
: WAN에서 공유기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IP 주소private IP address(사설 IP 주소)
: LAN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IP주소, 가상 IP 주소라고도 함
Port
-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웹 서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항구와 같은 역할
총 65,536여개까지 명시할 수 있는데, 이 중 0부터 1023까지는 이미 상용화된 프로토콜을 위해 예약된 Well-known 포트
Port Forwarding
- 공유기의 포트를 통해 이 공유기와 연결된 기기들의 특정 포트에 진입할 수 있게 하는 기능
- 이때 공유기는 일종의 안내자 역할
ex. 공유기에 컴퓨터와 핸드폰이 연결되어있는데 그냥 공유기 주소+포트번호만 입력한다면 공유기의 '어느기기'의 포트로 들어가야하는지 알수 없음. 따라서 포트 포워딩은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의 포트를 특정 번호를 통해 전달(forwarding) 해주는 것
네트워크에서 여러 대의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들을 연결하는 장치
허브는 크게 2가지 기능으로 사용
리피터
: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켜 재전송, 최대 전송 길이 연장, 접속 가능 장비 수 증가
멀티포트
: 여러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
네트워크에서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허브를 사용하여 컴퓨터나 장치들을 연결하는데, 더미허브를 사용하면 여러개의 포트를 가진 허브를 사용하지 않아도 여러개의 장치 연결 가능
인터넷 선을 연결하면 해당 포트를 여러개로 나누어서 여러 대의 PC와 서버들이 인터넷 사용을 가능하게끔 하는 기능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사용, 주로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
포트 수에 따라서 여러개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고 각각의 장치들은 더미허브를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 가능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데이터를 연결된 모든 포트로 전송하는 방식(Flooding(플러딩
)으로 동작, 여러 장치간의 통신이 가능해짐
but, 2대의 PC가 있고 그 중 1대의 PC만 정보를 많이 이용하고 나머지는 적게 이용해도 2대에 똑같이 데이터 양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양이 손실
많은 PC가 물리고 동시에 사용할 경우 데이터 속도 감소
더비허브는 1계층 장비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
를 사용, CSMA/CD
는 먼저 보낸 신호가 먼저 도착하고 나머지 신호들은 대기하였다가 회선에 신호가 흐르지 않을때 보내게 되며 동시에 신호를 보낼 경우 충돌이 발생하여 다시 재전송
Collision Domain(충돌영역)을 나누지 못하고 한 PC가 BroadCast를 뿌리게 되면 허브에 연결된 모든 PC, Server들은 BroadCast 패킷을 받게되고 허브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에서 충돌이 발생하여 속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음
LAN(Local Area Network)에서 장치를 함께 연결하는 네트워킹 장치
더미허브와는 달리 스위칭 허브는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
에서 작동하며 데이터 전송할때 스위칭(데이터 전달 경로 선택, 장치의 MAC 주소 사용) 기능을 가지고 있어 데이터 전송이 효율적
다른 장치의 MAC 주소가 MAC Address 테이블에 없으면 연결된 모든 장치에 데이터를 보냄(Flooding(플러딩)
)
각각의 포트마다 독립적인 연결을 제공
데이터가 특정 포트로 들어오면 해당 포트와 목적지 포트 사이의 연결만을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하므로 충돌 영역(Collision Domain)을 나눌 수 있고 전송 속도도 개선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목적지 주소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적절한 포트로 전송
대규모의 네트워크에 주로 사용되고 네트워크 성능과 확장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
보안 기능, 관리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 제공
스위칭 허브는 더미허브와 비교했을 때 스위칭 기능을 통해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성능을 개선한 장치, 큰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되고 여러 장치간의 동시 통신을 지원하며 충돌이 없고 전송속도가 빠름
네트워크 장치(ex. 컴퓨터, 스마트폰, 네트워크 카드 등..)가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식별자
물리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 MAC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장치 식별 가능
48비트(6바이트)로 구성, 16진수로 표현(ex. "00:1A:2B:3C:4D:5E" 형식)
데이터를 전송할 때 출발지 MAC 주소와 목적지 MAC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하여 데이터가 정확한 장치로 전달
장치가 제조될 때부터 할당되고 고정 되어있지만, 일부 장치는 변경 기능 제공
이더넷(Ethernet)이나 Wi-Fi등 과같은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되며, 네트워크 관리 및 보안에 중요한 역할
-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확인하기
- 윈도우 검색(돋보기) → cmd 클릭
-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ipconfig/all 치고 엔터
-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 - 물리적 주소 → MAC 주소!!
- 제어판에서 확인하기
- 단축키 : [window] + [R] → 'control' 검색 → 네트워크 및 인터넷 클릭
-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클릭 후 창에서 '이더넷' 클릭
- 이더넷 상태 창에서 '자세히' 클릭
- 네트워크 연결 세부 정보 → 물리적 주소 → MAC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