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비트의 숫자로 '0'의 비트는 호스트 부분을 나타내고 '1'의 비트는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를 네트워크 및 호스트 주소와 분리
서브넷 마스크는 기본적으로 자체 32비트 숫자를 이용하여 IP주소를 마스킹하기 때문에 여기서 '마스크'라는 단어 사용
전 세계에는 수백만 개의 네트워크가 존재하고 그 규모도 다름
보통 네트워크 규모가 클수록 네트워크 관리는 더욱 어려워진다.
네트워크가 작은 조각으로 쪼개져 있는 경우 이러한 조각을 서브넷
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서브넷
은 작은 네트워크라고 할수있다.
서브넷 마스크란 일단 말 뜻 그대로 서브, 즉 메인이 아닌 어떤 가공을 통한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서 씌우는 마스크
다시말해, 서브넷 마스크는 주어진 IP주소를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나누어 주기 위해서 씌워주는 이진수 조합
서브넷을 만들 때 사용되는 것으로 IP주소에는 반드시 서브넷 마스크가 있는데, 이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IP주소에서 Network ID와 Host ID 분리 가능
이때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성능 개선을 위해 네트워크 관리자가 효율적으로 자원을 분배하는 것이 바로 서브네팅(Subnetting)
서브네팅(Subnetting)
네트워크를 더욱 작은 단위의 네트워크로 분할하는 것을 말함
IP주소의 낭비를 방지하고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의 크기를 줄여서 성능을 향상하는 것이 주된 목적
① 관리하기 쉬움
② 고급 네트워크 보안
③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④ 네트워크 서브네팅 시 인터넷 서비스 업체(ISP)로부터 추가 IP 주소를 받을 필요가 X
Q. 위 그림에서 IP Address와 Subnet Mask를 어떻게 설정해야 각 PC 간 통신이 모두 되는지 설정 값을 적으세요. 그리고 그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하세요.
통신에서 흔히 '관문'이라고 한다. 관문이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나가거나 들어갈때 이용하는 출입문을 말한다.
네트워크 입장에서 보면 게이트웨이는 해당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나가는 출구이며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데이터 입장에서 보면 게이트웨이는 데이터가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거나 외부 네트워크로 들어갈때 반드시 지나가야하는 통로
호스트 기기에서 보면 게이트웨이는 로컬 호스트들이 외부망의 호스트 기기와 통신하려할때 반드시 도달해야하는 접속 지점
종합해보면, 게이트웨이란 다른 네트워크로 나가거나 다른 네트워크에서 들어오도록 하기 위해 꼭 필요한 통신기기(로컬 호스트 중 하나)의 일부분이며, 통신 데이터가 다른 네트워크의 호스트와 통신하기 위해서 반드시 통과해야하는 출입문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는 소수의 호스트 컴퓨터 간에 통신은 대상 간에 직접 통신을 하면 되기 때문에 통신 경로가 아주 단순, 하지만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다수의 호스트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을 할 경우에는 대상 간에 직접 통신을 하면 통신 경로가 아주 방대해지고 복잡해지기때문에 비효율적
따라서 통신 경로를 단순화하고 연결회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다수의 호스트들을 여러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의 호스트들은 한 지점에 공통적으로 접속하게 하며, 각 그룹의 공통된 지점을 서로 연결해주면 다수 간의 통신 경로가 단순해진다. 그리고 이때 각 그룹의 공통된 접속 지접이 바로 게이트웨이(Gateway)
즉,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의 복잡한 연결을 단순화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