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vm 동작원리Jvm 클래스 로더의 종류Stack영역과 heap영역Heap영역에 레퍼런스 타입이 저장되는 이유가비지 컬렉터가비지 컬렉터가 인스턴스가 실행중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근거캐릭터형에 대한 이해
2주만에 돌아온 TIL.클론코딩과 마지막 프로젝트덕에 TIL 쓸 시간조차 없었다..정말 인생에서 이렇게 많이 공부하고 열심히 했던 적이 있나 싶다.지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포스트의 status를 모두 바꿔야 하는 경우가 생겼다.그래서 스케줄러를 도입해서 jpa의 더티
backend와 frontend가 처음으로 협업을 했던 프로젝트 였다.다른 팀들은 대부분이 소통에 어려움을 겪었던 것 같은데 우리팀은 너무 좋았다.우리팀 여러분들 사랑해요.cors로 프론트와 연결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 생각했지만 의외로 굉장히 간단했고오히려 어려운 부
이런 문법이 있었다니...가변인수는 파라미터의 마지막에만 올 수 있다.String으로도 받을 수 있고 List< String>으로도 받을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에 대한 하나의 논리적 실행단계ACID (원자성, 일관성, 고립성, 지속성)는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이 안전하게 수행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성질을 가리키는 약어트랜잭션의 특징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최소단위의 작업모두 저장되거나, 아무
SOLID (객체 지향 설계) (위키백과)오늘은 SOLID 원칙에서의 단일 책임의 원칙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이다.단일 책임의 원칙이란 말 그대로 객체는 단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는 원칙이다.클래스가 변경되는 이유는 단 한 개여야 한다.내겐 아직 익숙하지 않은 느낌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너무 많은 것을 머리속에 담았다.이걸 정리할 시간이 필요했는데... 시큐리티를 제외한 다른 것들은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직접 코드를 짜며 정리를 해야 하겠다고 생각을 해서 미니 프로젝트 반을 선택했다.4주차는 정말 지옥이었습니다. 선생님들.사실 서
index클래스와 클래스 멤버(멤버 변수,메서드)에 부가적인 의미 부여.하나의 대상에 여러 제어자를 같이 사용가능(접근 제어자는 하나만)접근제어자(access modifier)publicprotected,(default)privatestaticfinalabstractn
private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default) 같은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protected 같은 패키지 내에서, 그리고 다른 패키지의 자손클래스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public 접근제한이 전혀 없다 |제어
스프링 심화주차.... 이거 너무 힘들어....내겐 좀 버거운 과제였어서 진짜 뭐 정리할 새도 없이 마감일에 쫓겨다녔다.다음 미니주차 프로젝트 때는 간단한 프로젝트로 진행해서 결과물을 정리해야겠다..
Generics란? 컴파일시 타입을 체크 해주는 기능 (compile-time type check) -jdk1.5 제네릭스 이전 제네릭스 이후 위의 코드에서 보면 알 수 있듯 제네릭스 이전에는 컬렉션에 자료형을 넣을 때 제한이 없었기 때문에 객체를 꺼내어 사용
컬렉션에 저장된 데이터를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컬렉션 종류마다 읽어오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그 요소들의 읽어오는 방법을 표준화 한것이 Iterator이다.처음 이터레이터를 선언한 후 next()의 끝까지 도달하면 다음 와일문에서는 사용 할 수 없다. 왜냐
시간 참 빠르다 벌써 4주가 지났다니.그 만큼 열심히 달려왔던 거라고 생각한다. 주특기 주차가 시작되었다. 스프링을 선택한 나는 스프링 기본강의를 들었고,crud 를 구현하는 간단한 게시판을 만들었다.전체 게시글 목록 조회 페이지제목, 작성자명, 작성 날짜를 조회하기작
강의를 들을 때나 다른 블로그의 글을 참고하며 공부할 때자꾸 헷갈려서 정리합니다.함수를 정의할 때 인수를 함수 내부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변수매개변수함수가 호출될 때 전달해 주는 값인수무슨 말인지 코드로 확인해봅시다 매개 변수(parameter)란위의 코드에서 Te
클래스와 객체와 인스턴스. 클래스(Class) 객체를 만들어 내기 위한 설계도 연관되어 있는 변수와 메서드의 집합 객체(Object) 모든 인스턴스를 대표하는 일반적 용어 oop의 관점에서 클래스의 타입으로 선언되었을 때 객체라고 부른다. 인스턴스(Instance) 특정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객체 (오브젝트) 객체를 소프트웨어에 실체화 하면 그것을...
먼저 CPU , RAM , HDD에 연관성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이론적으로 컴퓨터는 CPU와 HDD만으로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다고 한다.하지만 CPU에 비해 HDD는 동작속도가 매우 느리다. CPU의 사양이 아무리 좋더라도 HDD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느리기
aws의 ec2를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배포할 때 db의 값이 현시간과 다르게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그 이유는 ec2의 로컬서버와 내 로컬서버의 시간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는 우분투에 접속해서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https://images.velog.io/images/swcide/post/
프로젝트를 aws에 배포하고 나면 url에 8080포트를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게된다.근데 난 보여주기 싫으니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자!터미널에서 ubuntu 서버와 연결 후 위의 코드를 입력하면 된다! 아주 간단.서버돌리고..쨔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