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IP 주소
클래스 | 설명 |
---|---|
A class | - 0~127로 시작하며, 개의 호스트 사용 가능(주로 국가나 대형 통신망에서 사용) |
- 주소 범위 : 0.0.0.0 ~ 127.255.255.255 | |
B class | - 128~191로 시작하며, 개의 호스트 사용 가능(주로 중대형 통신망에서 사용) |
- 주소 범위 : 128.0.0.0 ~ 191.255.255.255 | |
C class | - 192~223으로 시작하며, 개의 호스트 사용 가능(주로 소규모 통신망에서 사용) |
- 주소 범위 : 192.0.0.0 ~ 223.255.255.255 | |
D class | - 224~239로 시작하며, 주로 멀티캐스트용으로 사용 |
- 주소 범위 : 224.0.0.0 ~ 239.255.255.255 | |
E class | - 실험적인 주소이며 공용되지 않는 주소 |
- 주소 범위 : 240.0.0.0 ~ 255.255.255.255 |
서브네팅(Subnetting)
IPv6
IPv6의 주소체계
주소체계 | 설명 |
---|---|
유니캐스트(Unicast) | 1 : 1 통신에서 사용(단일 송신자와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 |
멀티캐스트(Multicast) | 1 : N 통신에서 사용(단일 송신자와 다중 수신자 간의 통신) |
애니캐스트(Anycast) | 1 : 1 통신에서 사용 (단일 송신자와 가낭 가까이 있는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 |
www.dothome.co.kr
www : 호스트 컴퓨터 이름
dothome : 소속 기관 이름
co : 소속 기관 종류
kr : 소속 국가
192.168.1.0/24 네트워크를 FLSM 방식을 이용해 3개의 서브넷으로 나눠라.(IP Subnet-Zero를 적용함)
/24 =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255.255.255.0
Network ID : 11111111.11111111.11111111 = 255.255.255
Host ID : 00000000 = 0
Network ID는 이미 정해진 서브넷마스크로 변경이 불가하므로 Host ID를 이용해 3개의 서브넷으로 나눌 수 있다.
3 = -> 2개의 비트를 사용한다는 의미로 나머지 비트는 호스트로 구성할 수 있다.
Host ID의 왼쪽부터 서브넷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Network ID Hosts 사용가능한 IP 주소 범위 사용가능한 IP 주소의 2진수 표기법 1(00) 64 192.168.1.0 ~ 192.168.1.63 00000000(0) ~ 00111111(63) 2(01) 64 192.168.1.64 ~ 192.168.1.127 01000000(64) ~ 01111111(127) 3(10) 64 192.168.1.128 ~ 192.168.1.191 10000000(128) ~ 10111111(191)
Subnet-Ze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