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토콜(Protocol)
| 기본 요소 | 내용 |
|---|---|
| 구문(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빌 등을 규정 |
| 의미(Semantic) |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 |
| 시간(Timing) |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 메세지의 순서 제어 등을 규정 |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프로토콜 | 내용 |
|---|---|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 OSI 7계층의 전송 계층에 해당 |
| - 가상 회선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연결형 서비스 제공 | |
| - 패킷의 다중화, 순서 제어, 오류 제어, 흐름 제어 기능을 제공 | |
| IP(Internet Protocol) | -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 |
| - 데이터그램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비연결형 서비스 제공 | |
| - 패킷의 분해/조립, 주소 지정, 경로 선택 기능 제공 |
| OSI | TCP/IP | 기능 |
|---|---|---|
| 응용, 표현, 세션 계층 | 응용 계층 |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 제공 |
| 전송 계층 | 전송 계층 | 호스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 제공 |
| 네트워크 계층 | 인터넷 계층 |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지정, 경로 설정 제공 |
| 데이터링크, 물리 계층 | 네티워크 액세스 계층 | 실제 데이터(프레임)를 송수신하는 역할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내용 |
|---|
| 양방향 연결(Full Duplex Connection) 서비스 제공 |
| 가상 회선 연결(Virtual Circuit Connection) 서비스 제공 |
| 스트림 위주의 전달(패킷 단위) |
| 신뢰성 있는 경로를 확립하고 메세지 전송 감독 |
| 순서 제어, 오류 제어, 흐름 제어 기능 |
| 패킷 분실, 손상, 지연이나 순서가 틀린 것 등이 발생할 때 투명성이 보장되는 통신 제공 |
| TCP의 헤더는 최대 100Byte까지 확장하여 사용 가능 |
UDP(User Datagram Protocol
| 내용 |
|---|
| 비연결형 서비스 제공 |
| TCP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한 헤더 구조를 가져 오버헤드가 적고, 흐름 제어나 순서 제어가 없어 전송 속도가 빠름 |
| 빠른 속도로 전송, 다수의 사용자에게 전송, 반복적인 전송에 유리 |
| 실시간 전송에 유리 |
| 신뢰성보다 속도가 중요시 되는 네트워크에서 사용 |
| UDP 헤더 구성 : Source Port Number, Destination Port Number, Length, Checksum 등 |
RTCP(Real-Time Control Protocol
| 내용 |
|---|
| RTP(Real-Time-protocol) 패킷의 전송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 |
| 세션(Session)에 참여한 각 참여자들에게 주기적으로 제어 정보 전송 |
| 하위 프로토콜은 데이터 패킷과 제어 패킷의 다중화(Multiplexing) 제공 |
| 데이터 전송을 모니터링하고 최소한의 제어와 인증 기능만 제공 |
| RTCP 패킷은 항상 32비트의 경계로 끝남 |
IP(Internet Protocol)
| 내용 |
|---|
| 전송할 데이터에 주소 지정 및 경로 설정 기능 |
| 비연결형인 데이터그램 방식을 사용하여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음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내용 |
|---|
| IP와 조합하여 통신중에 발생하는 오류 처리 |
| 전송 경로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세지 관리 |
| 헤더는 8Byte로 구성 |
IGMP(Internet Gruop Management Protocol)
| 내용 |
|---|
|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호스트 또는 라우터 사이에서 멀티캐스트 그룹 유지를 위해 사용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내용 |
|---|
| 호스트의 IP주소를 호스트와 연결된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물리적 주소(MAC Address)로 변환 |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내용 |
|---|
| ARP와 반대로 물리적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 |
| 방식 | 내용 |
|---|---|
| Store and Forwarding | 데이터를 모두 받은 후 스위칭하는 방식 |
| Cut-Through |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만을 확인 후 바로 스위칭 하는 방식 |
| Fragment Free | Store and Forwarding과 Cut-Through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 |
경로 제어(Routing)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트래픽 제어(Traffic Control)
흐름 제어(Flow Control)
| 기법 | 내용 |
|---|---|
| 정지 대기(Stop and Wait) | 수신 측 확인 신호(ACK)를 받은 후 다음 패킷을 전송하며 한 번에 하나씩 전송 가능한 방식 |
|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 수신 통지를 이용한 송신데이터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한 번에 여러개씩 전송 가능한 방식 |
폭주 제어(Congestion Control)
| 기법 | 내용 |
|---|---|
| 느린 시작(Slow Start) | 윈도우의 크기를 1부터 2배씩 지수적으로 증가시켜 점진적으로 속도가 증가하며, 전송 데이터의 크기가 임계 값에 도달하면 혼잡 회피 단계로 넘어감 |
| 혼잡 회피(Congestion Avoidance) | 느린 시작의 지수적 증가가 임계 값에 도달하면 혼잡으로 간주하고 윈도우의 크기를 1씻 선형적으로 증가시켜 혼잡을 예방하는 방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