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머지 가상머신 설치

김상우·2022년 7월 18일
0

CentOS

목록 보기
2/11
post-thumbnail

지난 포스트에서는 환경을 구성하는 과정을 먼저 차근차근 설치하고 첫번째 서버의 환경을 설치해보았다.

Server(B) 설치

지난 포스트에서 설치한 Server는 GUI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하여 설치했다.
이번 포스트에서 설치할 Server(B)는 그보다 가볍게 CLI환경으로 설치해볼 것이다.

  • 설치 과정
    전반적으로 설치 과정은 지난 포스트에서 한 것과 비슷하다.
    아래의 주의점만 잘 체크하면서 설치를 진행해볼 것이다.
    • 언어
      CLI 환경으로 설치할 것 이므로 영어로 체크 후 Continue 버튼을 누른다.
    • Software Selection
      Server with GUI가 선택되어 있다면 Minimal Install을 선택하고 Done 버튼을 누른다.
    • 설치 후 재부팅
  • 추가 설정
    재부팅을 후 root로 로그인하여 필요한 명령어를 입력해보았다.
    • wget 프로그램 관련 패키지 설치
[root@localhost ~]# dnf -y install bind-utils net-tools wget upzip bzip2
  • dnf 저장소 설정
    This.repo의 내용은 지난 포스트에서 작성한 것과 동일하다.
[root@localhost ~]# cd /etc/yum.repos.d/
[root@localhost yum.repos.d]# rm -f *.repo
[root@localhost yum.repos.d]# vi This.repo
[root@localhost yum.repos.d]# dnf clean all
  • 네트워크 설정
    ifcfg-ens160의 내용을 수정 후 재설정한다.
[root@localhost yum.repos.d]#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vi ifcfg-ens160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nmcli connection down ens160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nmcli connection up ens160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reboot
  • SELinux 설정
    SELinux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 enforcing을 disabled로 변경 후 저장한다.
[root@localhost ~]# vi /etc/sysconfig/selinux

Client 설치

전반적으로 Server, Server(B)를 설치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차이점을 두어야 할 것을 명시해놓았다.

  • 소프트웨어 선택
    워크스테이션 - GNOME 응용 프로그램 선택
  • 설치 목적지(파티션)
    automatic(오토매틱) 선택

설치 후 자동 업데이트를 해제하기 위한 방법은 지난포스트의 Server를 설정한 것과 동일하며, dnf 설정 또한 동일하다.
Client 가상머신에서는 root 사용자가 접속하지 못하도록 해보았다.

[root@localhost ~]# vi /etc/pam.d/gdm-password
  • 변경 내용
    5행 쯤의 비어있는 줄에 아래의 문장을 추가 후 재부팅 한다.
auth	required pam_succeed_if.so	user	!=root	quiet

WinClient 설치

별다른 절치 없이 iso 파일만 다운로드 받아 가상머신에 업로드 할 것이다.
다운로드 링크는 다음과 같다.
Window iso파일 다운로드

설치 완료

이렇게 4개의 가상머신의 설치를 완료했다. 이제 본격적으로 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진행해보고자 한다.

profile
아침엔 운동하고 밤엔 잠을 잔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