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 string1 = 'Hi'
const string2 = "Hello"
const string3 = `Hello ${string1} ?!`
console.log(string3)
const string 1~3안에 '', "",, 가 있다. '',""는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기호는 데이터를 주어야한다 ${}여기안에 데이터를 주고 console.log(sting3) 으로 출력하면 Hello Hi?! 가 출력된다.
NAN은 부정으로 많이 해석 된다.
const number = 123.1234
const pi = 3.14
console.log(number + undefined)
console.log(pi)
이렇게 undefined로 써주고 더하면 NAN이 뜬다. 그래서 써야할 것은 typeof이다.
const number = 123.1234
const pi = 3.14
console.log(typeof (number + undefined))
console.log(typeof pi)
이렇게 괄호로 묶어주고 typeof를 쓰면 console.log에서 출력이 되면 number값이 출력된다.
const a = 0.1
const b = 0.2
console.log(Number ((a + b).toFixed(1))) // 0.3
코드를 보면 0.1+0.2 더하면 원랜 0.3이 나와야하는게 당연하다. 하지만 컴퓨터 속에선 소수점도 존재한다. 그래서 써야 하는 것이 toFixed(1)이다. (1)이 있는 이유는 소수점 첫 번째 자리에만 들어와야한다는 의미이다.
// Boolean(불린)
const a = true
const b = false
if () {
console.log('Hello')
}
불린은 if 조건문안에 a를 넣으면 true가 되니 긍정이다. 따라서 Hello가 출력이 그대로 되고 b는 false는 부정이니까 아무것도 출력이 되지 않는다.
null은 명시적이고, unedfined는 암시적이다
const user = {
name: TransformStreamDefaultController,
age: 20,
email: null
}
console.log(user) // name, age, email
console.log(user.name) // name
console.log(user.age) // age
console.log(user.email) // null
{}객체 데이터 안에 이름, 나이, 이메일을 적고 출력을 하면 위에 보는 코드와 같은 값이 출력된다. 하지만 user안에 email이 없다고 하고 console.log에 email을 출력을 하면, undefined가 출력이 된다. 하지만 user안에 email이 null로 해둬서 출력을 하면 null로 출력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