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로 이용해서 타임스템프로 한국표준시를 출력해 보았다.
이렇게 d1으로 이름을 만들어 내가 직접 지정을 해도 잘 출력이 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d2로 문자열로 똑같이 대입을 하고 출력을 해도 값은 똑같다.
getFullYear을 지정하고 출력을 하면 년도만 출력이 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getFullYear() 와 .setFullYear()를 활용해 보겠다.
get은 현재 년도를 지정해서 console.log에 getFullYear을 출력하면 2023현재 년도를 출력하게 되고,
set은 지정을 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2024로 지정을 해 주고, 다시 출력을 하면 2024가 출력이 된다. 또, 그냥 date를 출력하면 2023년이 아닌, 2024년으로 출력이 된다
우선 getMonth를 보면 현재는 5월 인데 왜 4월로 출력이 되냐하면, 제로베이스 넘버링으로 가기 때문에 숫자는 4로 출력이 되고, may는 5월이니까 5월로 출력이 된다.
또, setMonth로 (0)을 지정해 주면 제로 베이스 넘버링이기 때문에,
1월이 된다. 숫자는 0이 뜨되, Jan 1월이 뜬다.
getHours 와 setHoirs 는 시간을 반환하거나, 지정을 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처음은 기본 값인 그냥 getHours로 console.log로 출력을 하면 오늘은 18일 이기 때문에 18이라고 출력이 된다. 하지만 setHours로 지정을 19일로 지정을 하고 console.log에 출력을 하명, 19일이 뜨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getMinutes 와 .setMinutes는 분을 나타내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현재 몇 분인지를 출력하려면 그냥 Date를 입력하고 get으로 출력을 하면 현재 몇 분인지 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내가 직접 지정하고 싶다면, setMinutes를 사용해서 직접 지정을 하고 싶은 분으로 지정하고, console.log로 통해서 출력을 하면 내가 실제로 지정한 값이 출력이 된다.
getDay로 요일을 반환하는 값을 나타낸다. 그래서 console.log에 day를 출력하면 3이 나온다 0: 일요일 1: 월요일 2: 화요일 3: 수요일 등등 이렇게 값을 나타낸다. 그래서 switch 문으로 한국 요일을 나태내려고 해서 코드를 적었다. 그래서 day 값을 넣어주고, 3이 니까, 수요일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getTime 와 .setTime는 초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원리는 똑같다. getTime으로 console.log로 출력을 하면, 원래의 초가 지정이 되고, setTime으로 직접 지정해서 출력을 하면, 그 값으로 출력이 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예제를 만들어 보았다. console.log 에서 주석으로 되어있는 것이 결과 값이고, 설명이다 좀 어렵다.
getTime을 쓰 되, 밀리초가 필요하면, now를 쓰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