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length는 숫자 즉 지금 a,b,c가 3개 있으니까, length 숫자로 길이를 말 하는 것이다.
at은 대상 배열을 인덱싱하고, 음수 - 면 뒤에서 부터 인덱싱한다.
그래서 console.log로 표현을 하면, [0], at(0)과의 값은 똑같은 것이다. 그리고, 음수를 사용하면 at(-1) 뒤에서 부터 읽힌 다는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둘 다 똑같은 값이라는 것인데, 더 짧게 쓸 수 있어서, 편리하다는 것이다.
이렇게 arr1, arr2를 합치는 것은 const로 arr3로 이름을 주고, = arr1.concat(arr2)로 합쳐주는 것이다. 새로운 배열을 만드는 것이니까, arr1, arr2는 문제가 없다.
이렇게 전개연산자를 사용을 해도, concat이랑 같은 값이 나온다. 이 부분도 참고하자.
every는 모든요소가 참을 반환하는지 확인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arr에서 1,2,3,4를 넣고, 그 다음 arr.every로 콜백 함수를 만들어 item => item < 5 로 만들어준다 원랜 중괄호와, return이 있어야 하는데 없애줘도 된다. 그래서 console.log에 출력을 시키면, true라는 값이 나온다. 이유는,
1 < 5 true, 2 < 5 true, 3 < 5 true, 4 < 5 true기 때문에 모두다 true니까 값이 true가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하나라도 false 거짓이 나오면 통 틀어서 false가 나온다.
filter로 콜백 함수를 만들어 보았다 filter안에는 1, 20, 7, 9, 104, 0, 58이라는 숫자가 있고, 콜백함수에 number < 30 이라는 콜백에 조건을 넣었다. 그리고 출력을 하면 출력 값엔 1, 20, 7, 9, 0만이 출력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30보다 큰 숫자들은 출력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번엔 0이라는 값을 넣고 출력을 하면, 빈 배열만이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lter로 콜백함수로 넣어서 조건을 넣었다. Tteum은 20살,
Yliem은 21살, onog은 11살 이다. 그래서 조건에는 user.ahe >= 19
기 때문에, Tteum, Yliem은 출력값에 출력이 되고, onog은 11살 이기 때문에 거짓이므로 출력이 되지 않는 것이다.
출력 값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