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Architecture #1. 컴퓨터 구성

김태준·2023년 2월 27일
0

CS & OS Study

목록 보기
1/12
post-thumbnail

✅ 컴퓨터 구성

  • 하드웨어 :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계적 장치
    종류) 중앙처리장치(CPU), 기억장치(RAM, HDD), 입출력 장치(마우스, 프린터)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고 제어하는 명령어 집합
    종류) 시스템 소프트웨어(OS, 컴파일러), 응용 소프트웨어(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 하드웨어

하드웨어는 시스템 버스(데이터와 명령 제어 신호를 각 장치로 실어나르는 역할)로 연결되어 있다.
🎈 1. CPU

  • 주기억장치에서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 처리하고 명령어의 수행 순서를 제어함.
  • 비교와 연산을 담당하는 산술논리연산장치(ALU)와 명령어의 해석, 실행을 담당하는 제어장치, 속도가 빠른 데이터 기억장소인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 2. 기억장치

  • 프로그램, 데이터, 연산 중간 결과를 저장하는 장치
  • 주기억장치(RAM), 보조기억장치로 나뉘며 실행중인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 일시적으로 저장.
  • 보조기억장치는 HDD 등을 말하며 주기억장치에 비해 속도는 느리지만 많은 자료 영구보관 가능

🎈 3. 입출력 장치

  • 입력 장치는 컴퓨터 내부로 자료를 입력하는 장치들을 의미(키보드, 마우스)
  • 출력 장치는 컴퓨터에서 외부로 표현하는 장치(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 4. 시스템 버스

  •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선으로, 구성 요소 간 데이터 연결 통로를 의미
  • 용도에 따라 데이터 버스, 주소 버스, 제어 버스로 나뉨

🎈 4-1) 데이터 버스

  • 중앙처리장치와 기타 장치 사이에 데이터 전달하는 통로
  • 기억장치, 입출력장치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CPU로 보내거나 CPU 연산 결과를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로 보내는 '양방향'버스

🎈 4-2) 주소 버스

  • 데이터를 정확히 나르기 위해선 기억장치의 "주소"를 정해주어야 한다. '단방향'버스

🎈 4-3) 제어 버스

  • 주소버스, 데이터버스는 모든 장치에 공유되기에 이를 제어할 수단이 필요함
  • CPU가 기억장치, 입출력장치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통로를 의미, '양방향'버스
  • 종류로 기억장치 읽기 및 쓰기, 버스 요청 및 승인, 인터럽트 요청 및 승인, 클락, 리셋 등

❗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읽고 처리한 뒤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있다.
위 과정을 진행하며 끊임없이 주기억장치(RAM)과 소통하고 이때 운영체제가 64bit면 CPU는 RAM으로부터 데이터를 한 번에 64bit씩 읽어온다.

✅ CPU 작동 원리

🎈 1. 연산장치

  • 산술연산과 논리연산 수행 (ALU라 불리기도 함)
  •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레지스터에서 가져와 연산 결과를 다시 레지스터로 보냄

🎈 2. 제어장치

  • 명령어를 순서대로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 주기억장치에서 프로그램 명령어 꺼내 해독, 그 결과에 따라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기억장치, 연산장치, 입출력장치로 보냄
  • 이들 장치가 보낸 신호를 받아서 다음 수행할 동작 결정

🎈 3. 레지스터

  • 고속 기억장치
  • 명령어 주소, 코드,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 연산 결과 등을 임시로 저장.
  • 범용 레지스터: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 연산 결과 임시 저장
  • 특수목적 레지스터: 특별 용도로 사용하는 레지스터
    🎈 3-1) 특수목적 레지스터 중요한 것
    MAR(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 읽기, 쓰기 연산 수행할 주기억장치 주소 저장
    PC(프로그램 카운터) : 다음 수행할 명령어 주소 저장
    IR(명령어 레지스터) :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 저장
    MBR(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 주기억장치에서 읽어온 데이터 or 저장할 데이터 임시 저장
    AC(누산기) : 연산 결과 임시 저장

✍️ CPU 동작 과정

  1. 주기억장치는 입력장치에서 입력받는 데이터,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어온다.
  2. CPU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 처리하고 결과를 다시 주기억장치에 저장한다.
  3. 주기억장치는 처리 결과를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거나 출력장치로 보낸다.
  4. 제어장치는 1~3 과정에서 명령어가 순서대로 실행되도록 각 장치를 제어

✍️ 명령어 세트

: CPU가 실행할 명령어 집합
연산코드(실행연산) + 피연산자(필요한 데이터 or 저장위치)로 이루어짐
연산 코드: 연산 제어, 데이터 전달, 입출력 기능을 가짐
피연산자: 주소, 숫자/문자, 논리 데이터 등을 저장

  • CPU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주기억장치에서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인출해 해독하고 실행하는 과정 반복
  • CPU가 주기억장치에서 하나의 명령어를 인출해 실행하는데 필요한 일련의 활동을 '명령어 사이클'이라고 말함.
  • 명령어 사이클은 인출/실행/간접/인터럽트 사이클로 나뉜다.
    주기억장치의 지정된 주소에서 하나의 명령어를 가져오고 실행 사이클에서 명령어를 실행한다.
    이후 하나의 명령어 실행이 완료되면 그 다음 명령어에 대한 인출 사이클 시작

✍️ 인출 사이클과 실행 사이클에 의한 명령어 처리 과정

  1. 인출 과정
    T0 : MAR ← PC
    T1 : MBR ← M[MAR], PC ← PC+1
    T2 : IR ← MBR
  • PC에 저장된 주소를 MAR로 전달
  • 저장된 내용을 토대로 주기억장치의 해당 주소에서 명령어 인출
  • 인출한 명령어를 MBR에 저장
  • 다음 명령어 인출위해 PC 값 증가
  • MBR에 저장된 내용을 IR에 전달

2 명령어 실행 과정
T0 : MAR ← IR(Addr)
T1 : MBR ← M[MAR]
T2 : AC ← AC + MBR

  • 이미 명령어만 실행하면 되므로 PC 증가할 필요 X
  • IR에 MBR의 값이 이미 저장된 상태를 의미
  • AC에 MBR을 더해주기만 하면 됨

참고 사항
링크텍스트

profile
To be a DataScientis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