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 Area Network

이태곤·2022년 12월 2일
0

Data Communication

목록 보기
12/15

1. Topology

  • Bus Topology

    • 모든 node들이 양 끝에 terminator (저항)가 있는 하나의 transmission medium에 의존해서 통신한다.
    • 통신 link가 끊어지게 되면 시스템이 마비된다.
  • Star Topology

    • 각각의 노드들은 공통되는 중앙 노드에 연결되어 통신한다.
    • 2개의 point-to-point 링크를 사용한다.
      • 각각 전송, 수신 용도
    • 특정 노드와의 통신 link가 끊어지더라도 다른 노드들간의 통신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 Central node
      • Hub : Bus Topology와 동작하는 방식이 동일하며 저렴하다.
        특정 노드들간의 통신중에는 다른 노드들이 통신 link에 접근이 불가능하여 동시에 여러 장비들과 통신이 불가능하다.

        -> A, B가 통신 중에는 C, D 노드는 medium에 접근이 불가하다.

      • Switch : 동시에 여러 장비간 통신이 가능함에따라 성능이 우수하고 높은 비용을 가지고있다.

2. IEEE 802 Protocol Layers Compared to OSI Model

  • OSI : Data의 flow, error control
  • IEEE 802 : DataLink Layer를 Logical Link Control, Medium Access Control 두 개의 Layer로 분리한다.
    • Logical Link Control (LLC) : transmission medium에 접근해서 통신하는 노드들간의 논리적인 link를 제어한다.
      • Medium Access와는 독립적이다.
        -> Medium에 접근하는 방법은 모두 달라도 LLC 방법은 동일하다.
      • Error control, Flow Control
    • Medium Access Control (MAC) : transmission medium에 대한 접근을 여러방법으로 제어한다.
      • Random access, Using token, Polling
    • 각각의 header segment가 존재
  • LLC Services

    1. Unacknowledged connectionless service
      -> Ethernet이 사용하는 방법이며 data의 전송이 보장되지 않는다.
      -> 데이터 수신시에 ACK을 전송하지 않는다.
      -> Error 자체적으로 correction
      -> No logical connection
      -> Required minimum logic (Preferred option)

    2. Connection-mode service
      -> 통신하는 노드들 사이에서 Logical connection set up 필요
      -> Flow & Error control 제공
      -> Used in simple devices

    3. Acknowledged connectionless service
      -> 데이터 수신시에 ACK을 전송한다.
      -> No logical connection
      -> Large channel needed
      -> Emergency control signals
  • LLC Protocol

    • HDCL 기반
    • type1 : Unacknowledged connectionless service (Ethernet)
      -> LLC header를 사용하지 않는다.
    • type2 : Asynchronous balanced mode
    • type3 : Acknowledged connectionless service
  • LLC PDU in a MAC Frame Format

  •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MAC) : transmission medium에 대한 접근권한을 제어하는 프로토콜로 여러가지 방법이있다.
    • Round robin : By using token
    • Reservation : By scheduler
    • Contention : By random access (경쟁)

3. Bridges

  • 동일한 (또는 서로다른) Physical & Datalink layer protocols를 가진 비슷한 LAN들을 연결한다.
    • Repeater : 서로 다른 Physical Layer를 연결해주며 상위계층에서는 같은 protocol을 가지고 통신하고있어야 한다.
    • Bridge : 서로 다른 Data Link Layer를 연결해준다.
      -> 서로 다른 MAC protocol(format)을 사용해도 bridge가 control 및 mapping 해준다.
    • Router : Network Layer에서 주소 정보를 보고 경로를 결정한다.
    • Gateway : 완전히 네트워크가 다른 장비들을 연결할 때 사용한다.

  • 2개 이상의 LAN들을 연결한다.
  • 각각의 station들은 bridge의 존재를 모른다.
    -> Transparent : 각각의 station들은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생각한다.
  • 라우팅과 어드레싱을 수행한다.
  • Configuration of Bridges

    • 일종의 Routing : 각각의 station들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Bridge들은 본인에게 어떤 station들이 연결되어 있는지 routing table을 그려나가며 저장한다.
      • Spanning Tree 형태

        -> Frame forwarding
        -> Address learning: bridge port마다 연결되어있는 station들을 저장
        -> Loop resolution

        Loop of Bridges

        -> Station B가 Data를 전송하면 모든 Bridge로 전송
        -> α:2:B, β:1:B, β:2:B 정보가 table에 저장 (Infinite loop)
        -> Solution : loop를 생성하는 port를 blocking

    • 각각의 Bridge들은 Cycle이 존재하지 않도록 내부적으로 끊어버린다.
    • Traffic 분리 / 제어가 가능하다.
  • Link-Layer Switch

    -> Switching table은 각 station들이 data를 전송하게 되면 Gradual하게 생성된다.
    -> Switching table에 정보가 없는경우 broadcast (전체전송)을 통해 테이블 정보를 생성해 나아간다.


4. Configuration

  • LAN Configuration
    • Router VS Switch, Bridge
      • Switch 또는 Bridge는 Spanning Tree를 만들어야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tree를 따라가야한다.
        -> Shortest path 불가능!
      • 반면 Router는 Network 계층에서 shortest path를 찾을 수 있다.
  • VLAN Configuration
    • LAN끼리는 물리적으로 떨어져있지만 논리적으로 LAN이 연결되어있는 상태이다.
      -> 멀리 떨어져있더라도 동일한 LAN에 있는 것과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 데이터 전송시에 같은 LAN Segment 안에있는 Station들은 데이터 수신가능하다.

      -> Virtual LAN 기능이 있는 Swtich 장비들이 동일한 Virtual LAN안에 속한 Station들에게 broadcast data를 전달 해야한다.

      -> 각 Switch에서 VLAN 소속 port 정보를 가지고 있고 Broadcast data가 전송/수신 하게되면 해당 VLAN에 속한 Station들에게 data를 전달해준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