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검증 Validation(스프링 로그인처리(쿠키, 세션, 필터, 인터셉터)(스프링 예외 처리와 오류 페이지(데일리 알고리즘 12주차
🤔 Bubble Sort에 대한 의문점 Bubble Sort를 구현하고 코드를 돌려보았는데, 결과가 나오기 이전에 Normal Case의 경우에는 교환연산이 반드시 일어나는것이 아니지만, Worst Case의 경우 교환연산이 무조건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당연히 Wo
최근들어 AI가 이슈라 재미삼아 한번 써보았다. 당시 소수 관련 알고리즘 문제를 풀고 있어서 간단한 질문을 통해 문제를 풀어보았는데, 결과는 놀라웠다.자바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코드 구현해줘솔직히 이렇게 결과가 나온것을 보고 무서웠다. 미래에는 AI에게 질문을 잘하는
현재까지 자료구조, 완전탐색, 정렬, 이분탐색 문제를 풀어왔는데, 분명 처음보는 개념의 경우 풀이법조차 가늠이 안가 문제풀이에 헤매이기 부지기수입니다. 하지만 꾸준하게 문제를 풀어가다 보면 문제의 메커니즘이 눈에 익혀지고, 접근법이 어느 순간 보이는 순간이 생기더군요.
패스트캠퍼스 과정 동안 취직 준비 겸 알고리즘 공부를 꾸준히 유지하여 git에 잔디를 쭉 심는게 목표다.아직까지는 잘 지키고 있는데 사실 하기 싫은 날에는 쉬운 문제만 풀고 넘어가기도 했는데, 그러면 안된다는거계속 마인드 셋을 잘 갖추고 어느정도의 수준있는 문제를 통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이해하는데 기반이 되는 중요한 개념들에 대해 수많은 예시와 접목시켜 이해하기 쉽게 풀어쓴 책이라 느꼈다.아침마다 읽고 있는데 객체지향 설계시 어떤 점에 대해 염두해 두고 중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알고 설계하는 것과 모르고 설계하는 것이 큰 것 같다.
메서드의 핵심은 재사용성이다. 이와 같이 내용 상 많이 겹치는 부분이 있는데 메서드의 경우 재사용성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같은 기능을 하나의 메서드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자료 정리
데이터 타입별로 단순하게 "이 데이터는 2byte니깐 실제 컴퓨터 내부 동작에서도 2byte로 동작할거야"가 아닌 CPU가 처리하는 word가 몇 비트인지, 또는 JVM의 operand stack은 몇 byte 단위로 처리하는지에 따라 생각했던 것과는 다른 결과가 나오
평소 글 재주도 워낙 없고 남들 자료 정리 해놓은 것만 베껴 쓰다보니 TIL을 쓸 때마다 이렇게 쓰는게 맞는지 항상 고민이 되는 것 같다. 허나 이렇게 고민하고 정리하다보면 언젠간 나에게 맞는 틀이 생기고 그러기 않을까하는 마음에 계속 TIL을 쓰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DevJava 복습 ❌인프런 스프링 공부 ⭕️SQL 공부 ❌Group Study ❌About me독서(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0:00 기상10:00 ~ 11:00 독서(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DevJava 복습인프런 스프링 공부SQL 공부About me독서(객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