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과 django를 학습 후, 코딩의 꽃(?)인 클론 사이트를 제작해 보았습니다. 프론트 개발자 2명과 백엔드 개발자 3명의 팀으로 진행하였으며, 제작기간은 2주 정도 소요 되었습니다. ># [요약] >Clone Site : 에어비앤비 >GitHub : https
개발을 전공했지만 첫직장을 개발자로 스타트를 하지는 못했었다.첫 직장을 구할 당시, 일본 취업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그때 당시 일본 헤드헌터 업체를 통해 기업 리스트를 받고헤드헌터 업체와 미팅을 한후, 나에게 알맞을것 같은 기업들만을 추려서 그 기업들만을 대상으로 면접을
팀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원활한 코딩 & 테스트를 위하여, 다량의 데이터가 필요했습니다. csv파일을 각자 관리 하자니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 될때, 각자의 csv를 전부 다 추가를 해줘야 하고 귀찮아서 csv파일 관리를 소흘히 하면 팀원들과 데이터가 달라지니 귀찮은 작업
파이썬과 django를 학습 후, 코딩의 꽃(?)인 클론 사이트를 제작해 보았습니다. 프론트 개발자 2명과 백엔드 개발자 3명의 팀으로 진행하였으며, 제작기간은 2주 정도 소요 되었습니다. 사이트 선정 커머스 사이트를 우선 클론해 보고 싶었고, 요구정의 우선 2
양수로 이루어진 m x n 그리드를 인자로 드립니다.상단 왼쪽에서 시작하여, 하단 오른쪽까지 가는 길의 요소를 다 더했을 때,가장 작은 합을 찾아서 return 해주세요.한 지점에서 우측이나 아래로만 이동할 수 있습니다.Input:\[ 1,3,1, 1,5,1
두 개의 input에는 복소수(complex number)가 string 으로 주어집니다.복소수란 a+bi 의 형태로, 실수와 허수로 이루어진 수입니다.input으로 받은 두 수를 곱해서 반환해주세요.반환하는 표현도 복소수 형태의 string 이어야 합니다.복소수 정의
인자인 height는 숫자로 이루어진 배열입니다.그래프로 생각한다면 y축의 값이고, 높이 값을 갖고 있습니다. 아래의 그래프라면 height 배열은 1, 8, 6, 2, 5, 4, 8, 3, 7 입니다.graph저 그래프에 물을 담는다고 생각하고, 물을 담을 수 있는
웹사이트의 회원정보 중 암호화가 필수인 몇가지 컬럼들이 있습니다.개인정보에 해당하는 것들이 암호화 대상이 되겠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중에 하나인 비밀번호 암호화에 대해서 적어보고자 합니다.해쉬란?가변적인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임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nums는 숫자로 이루어진 배열입니다.가장 자주 등장한 숫자를 k 개수만큼 return 해주세요. 숫자 중복이 몇개 인지 카운트 하여 k순위 만큼 리스트에 담아서 리턴하면 끝이 날것 같다.숫자가 얼마 만큼 중복인지를 카운트하기 위해 dictionary를 사용한다.숫자
s는 여러 괄호들로 이루어진 String 인자입니다.s가 유효한 표현인지 아닌지 true/false로 반환해주세요. 종류는 '(', ')', '', '', '{', '}' 으로 총 6개 있습니다. 아래의 경우 유효합니다.한 번 괄호를 시작했으면, 같은 괄호로 끝내야 한
orm은 database의 종속성을 벗어나 SQL을 모르는 사람이라도 dbms에 질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저도 요즘에 django orm공부를 하고 있어 사용해보면서 아래와 같은 차이점이 있어 잘못 사용하면 큰일 나겠구나 라고 느낀바가 있어 적어봅니다.아래 주
숫자로 이루어진 배열인 nums를 인자로 전달합니다.숫자중에서 과반수(majority, more than a half)가 넘은 숫자를 반환해주세요. 예를 들어, nums 배열의 길이는 무조건 2 이상입니다.일단 문제를 보고 set으로 중복을 제거한 다음 어떻게 해볼까도
로마자에서 숫자로 바꾸기 1~3999 사이의 로마자 s를 인자로 주면 그에 해당하는 숫자를 반환해주세요.로마 숫자를 숫자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로마자를 숫자로 읽는 방법은 로마자를 왼쪽부터 차례대로 더하면 됩니다.III = 3XII = 12XXVII = 27
1. django란 무엇일까요? >[django란?] 파이썬에서 웹사이트 구축을 손쉽게 해주는 프레임워크입니다. >[프레임워크(framework)란?] >그렇다면, 프레임워크는 무엇일까요? 프레임워크는 쉽게 말하면 도구의 집합체입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식당을 오픈하
[git 초기설정] git init -> git로 관리할 대상 폴더에서 명령어 실행 [git commit 과정] git add [파일명] or git add . (.은 현재 경로의 변경된 모든 파일) git commit -m [메세지] [local git과 gith
1. 함수란? 반복되는 기능이 있을 경우, 매번 똑같은 코드를 반복해서 작성을 한다면 상당히 비효율적인 코딩이 된다. 그런 반복적인 기능을 따로 분리하여 단독 작성 되어진 것이 함수이다. 1-1. 함수의 구성요소 아래의 사진은 함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냈었
3. Dictionary key와 value로 이루어진 자료구조이다. 리스트와 튜플은 인덱스로 접근하는 반면에 딕셔너리는 key값으로 데이터에 접근한다. 3-1. Dictionary 생성 리스트는 '[', ']' 튜플은 '(', ')' 딕셔너리는 '{', '}'를 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사용한다.예를 들어 코스피에 상장된 여러 기업들의 목록을 가져온다 치자.변수를 활용한 방법으로 각각의 기업 목록을 가져오기 위해서는corporation1 = "삼성전자"corporation2 = "LG전자"corporation3 = "카카
∙ 산술 연산자는 수학연산을 위해 사용한다.\+ : 더하기 ex) 1 + 1 = 2\- : 빼기 ex) 3 - 2 = 1\* : 곱하기 ex) 4 \* 3 = 12/ : 나누기 ex) 4 / 2 = 2% : 나머지 ex) 5 % 3 = 2\*\* : 제곱 ex)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