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중을 위해 NAS볼륨과 포트를 연결해줌
- 포트의 경우 나중에 더 추가해도 되는데 젠킨스를 접속하게 할 8080포트와 express가 실행할 3000포트는 필수임
- 이 도커 컨테이너 포트(내부)를 나스의 포트(외부)로 연결해서 밖에서 접속할 수 있음
- 예) xxxx.synology.me:49155로 도커의 localhost:8080에 접속가능
<img src="https://velog.velcdn.com/images/taelee/post/d3dc06d0-cafe-4f9a-8bbb-b8865deeca84/image.png" width=500>
<img src="https://velog.velcdn.com/images/taelee/post/6c351e67-81d5-49d8-8a22-6e0d07720b23/image.png" width=500>
- 볼륨은 나중에 도커 컨테이너 내부로 파일을 옮길때 필요(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딱히 사용하지는 않는데 나중을 위해 만듬)
위에 컨테이너만 실행해도 사실 xxxx.synology.me:49155로 접속하면 젠킨스 서버로 접속가능
다만 젠킨스를 https로 접속하려면 아래 설정해서 리버스 프록시를 설정해주면 됨
그러면 https://xxxx.synology.me:40333 -> http://xxxx.synology.me:49155로 접속할 수 있음
나중에 해도 될것 같긴한데 젠킨스 초반 설정할 때 현재 젠킨스 서버 url을 입력하는게 있어서 나중에 바꾸면 이것도 바꿀수 있나 싶음

https://xxxx.synology.me:40333으로 접속하면 젠킨스 초기 설정 페이지가 뜸
초반 비번 치라하는데 아래 경로가면 초기 비번 볼 수 있음(cat /var/jenkins_home/secrets/initialAdminPassword 치면 될듯)

install sugested plugins만 선택하고, 앞으로 쓸 아이디, 비번, 이름, 이메일정도 치면 자동으로 완료됨
이 블로그에 잘 설명되어 있음


/github-webhook/을 붙여야 되는데 마지막에 /안붙이면 302에러 남

cd /var/jenkins_home/workspace/jenkins-nodejs-221201 마지막 부분은 젠킨스 아이템명pm2 start bin/www 로 pm2로 익스프레스 서버를 실행시키면 앞으로 젠킨스가 레포를 풀 받았을때 pm2가 자동으로 변화를 감지해서 서버를 재시작 시켜줌
만약에 중간에 젠킨스 서버에 뭔가 설치해야되는데 sudo권한이 없어서 설치하기 힘들다면
제어판 터미널 및 SNMP에서 SSH서비스 활성화 클릭

맥 터미널을 켜서 SSH접속
ssh 나스아이디@xxxx.synology.me -p 2211 을 치면 됨
ssh 나스아이디@192.168.0.xx -p 2211 로 접속하면 됨 xx는 나스가 공유기로부터 할당받은 아이피주소에 따라 달라짐.나스에서 도커 컨테이너의 root로 접속하기
sudo docker container exec -u 0 -it 컨테이너이름 bash 치고 시놀로지 나스 비번치면 도커 컨테이너에 접속됨

이제 vim 이나 이것저것 깔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