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도 이제 질릴때도 됐으니 뭐 다른거 없나 둘러보던 중 HEXACO 테스트 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ChatGPT에게 관련해서 질문을 해봤다.
헥사코(HEXACO) 테스트는 성격을 평가하는 심리학적 검사 중 하나로, 인간의 성격을 다음 6가지 요인으로 나누어 측정합니다.
- 정서성(Emotionality): 감정적으로 얼마나 안정적인지
- 외향성(Extraversion): 외향적이고 사교적인 성향
- 원만성(Agreeableness): 타인과 얼마나 잘 어울리고 화합하는지
- 성실성(Conscientiousness): 목표 달성에 대한 성실하고 체계적인 성향
-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새로운 경험이나 아이디어에 얼마나 개방적인지
- 정직-겸손성(Honesty-Humility): 정직하고 겸손한 성향
1~5번 까지는 기존 Big Five 분석과 크게 다르지 않은데 그것은 서구권 사람들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것이기에 우리나라 정서와는 살짝 다를 수 있다고한다.
그래서 추후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을 골고루 분석한 결과 6번째 항목인 정직-겸손성이 추가되었고, 특히 이것이 중요하게 받아들여지는 한국 사회에는 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럼 MBTI와 헥사코 테스트의 차이점도 한번 알아보자
HEXACO와 MBTI는 둘 다 성격을 분석하는 테스트이지만, 그 목적과 방법에 있어서 차이점이 뚜렷합니다. 각각의 특징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성격 차원의 구성
- HEXACO
HEXACO 모델은 성격을 6가지 차원으로 구분합니다. 이 모델은 기존의 Big Five 모델에 Honesty-Humility(정직-겸손성)이라는 차원을 추가하여, 성격을 보다 폭넓게 평가합니다.
이 모델은 연구를 기반으로 형성된 성격의 다차원적 평가를 제공하여, 인간의 성격을 보다 체계적으로 설명하려 합니다.- MBTI
MBTI는 4가지 이분법적 지표로 성격을 분류하여 총 16가지 성격 유형을 제시합니다. MBTI의 기준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축으로 구분됩니다.
• 외향(Extraversion, E) vs 내향(Introversion, I)
• 감각(Sensing, S) vs 직관(Intuition, N)
• 사고(Thinking, T) vs 감정(Feeling, F)
• 판단(Judging, J) vs 인식(Perceiving, P)
이를 통해 개인의 인지 스타일과 대처 방식을 분석하여, 사람마다 고유한 16가지 성격 유형 중 하나로 분류합니다.2. 측정 목적과 활용
- HEXACO
HEXACO는 주로 성격 연구 및 행동 예측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특히 정직-겸손성(Honesty-Humility) 요소는 도덕적 행동, 윤리적 판단, 이타성 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직장에서의 성실성, 정직성 등을 예측
할 수 있습니다.- MBTI
MBTI는 주로 자기 이해 및 인간관계 개선에 목적이 있습니다. 주로 개인의 성향을 파악해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이해하거나, 팀 빌딩 등에서 성격 유형에 따른 조화를 찾는 데 많이 활용됩니다. 일상적인 의사결정 및 관계에서의 경향을 파악하는 데도 많이 사용됩니다.3. 과학적 타당성
- HEXACO
HEXACO는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넘어서 과학적 연구에 기초한 평가 도구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행동 예측의 정확도가 높으며, 성격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데 유용합니다.- MBTI
MBTI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심리학계에서 과학적 타당성에 대한 비판이 있습니다. 특히 성격 유형이 이분법적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개인의 성격을 고정된 틀 안에 맞추려는 경향이 있으며, 상황에 따른 변화나 복잡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습니다.4. 결과 해석
- HEXACO
결과는 백분위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속하는 성격 특성이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정 성격 특성이 타인과 비교해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MBTI
MBTI는 16가지 성격 유형 중 하나로 결과를 나타내며, 각 유형에 따라 고유한 성격 특성과 행동 패턴을 설명합니다. 이 유형을 통해 개인의 선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5. 요약
HEXACO는 성격을 6가지 차원으로 세밀하게 분석하여 연구 및 행동 예측에 유용하며, MBTI는 이분법적 지표를 바탕으로 16가지 유형을 통해 자기 이해와 인간관계 개선에 초점을 둡니다. HEXACO는 과학적 신뢰성이 더 높지만, MBTI는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특히 직장에서의 성실성, 정직성 등을 예측
한다는 것이 궁금하다.
MBTI는 신입사원 때 체크하면 IxFx 였다가 연차가 올라갈 수록 점점 ExTx 로 변해갔는데 Hexaco에서는 어떻게 나올 지..?
https://survey.ucalgary.ca/jfe/form/SV_0icFBjWwyHvJOfA
Hexaco 테스트를 연구하고 발표 한 캐나다 캘거리 대학교에서 테스트를 해볼 수 있다. 다행히 연구하신 교수님들 중에 한국인 교수님이 계셔서인지 한글로 테스트할 수 있다.
10분 가량 테스트 항목에 체크를 하고나면 이처럼 6가지 주요 항목과 각 항목에 딸린 세부항목 별로 100분위 그래프가 나온다.
그리고 그 아래에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이 (영어로) 길게 나오는데 이미 AI의 노예가 되어버린 저는 곧바로 저 그래프를 ChatGPT한테 먹여줬다.
분석해줘
- 정직-겸손성 (Honesty-Humility)
- Sincerity (성실성) , Fairness (공정성) , Greed Avoidance (탐욕 회피) 모두 평균 이상입니다. 이는
타인을 공정하게 대하고 부당한 행동을 싫어하는 성향
을 나타냅니다- Modesty (겸손)는 3.94로 낮은 편입니다. 이는 자신을 과소평가하지 않지만,
타인에게 겸손한 태도를 취하는 데는 익숙하지 않을 수 있음
을 의미합니다.
- 정서성 (Emotionality)
- Anxiety (불안)과 Sentimentality (감정적 유대감)는 평균 정도의 점수를 보이지만, Fearfulness (두려움)는 상대적으로 높습니다(5.95). 이는
위험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불안한 상황에서 쉽게 스트레스
를 받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Dependence (의존성)는 3.86으로 낮은 편입니다. 이는
독립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성향
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외향성 (Extraversion)
- 대부분의 하위 항목이 낮습니다. Social Self-esteem (사회적 자존감), Sociability (사교성), Liveliness (활기)는 모두 1~2점대에 위치합니다. 이는
혼자 있는 것을 더 선호하고 에너지가 부족하거나 수줍음을 많이 타는 경향
을 나타냅니다.- Social Boldness (사회적 대담성)이 3.23으로 조금 더 높아,
특정 상황에서는 자신감을 보일 수 있음
을 시사합니다.
- 친화성 (Agreeableness)
• Forgiveness (용서)가 평균 이하(4.07)인 반면, Gentleness (온화함), Flexibility (유연성), Patience (인내심)은 평균 이상입니다(4.6~4.8). 이는대체로 온화하고 유연하며 인내심을 갖추었지만, 잘못을 저지른 자에게 용서에는 신중할 수 있음
을 나타냅니다.
- 성실성 (Conscientiousness)
- Organization (조직력), Diligence (근면성), Prudence (신중함)은 평균 이하 또는 평균에 가깝지만(3.64~4.08), Perfectionism (완벽주의)는 5.01로 높습니다. 이는
높은 수준의 정확성이나 완벽을 추구하지만, 조직적인 면에서는 다소 부족할 수 있음
을 의미합니다.
- 경험에 대한 개방성 (Openness to Experience)
- 이 항목의 하위 항목들은 대체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Inquisitiveness (호기심)와 Creativity (창의성)는 각각 4.85와 6.09로
창의적인 사고와 호기심이 강함
을 보여줍니다.- Aesthetic Appreciation (미적 감상)도 5.02로 높아,
예술적 감각이 뛰어난 편
입니다.
....
....
....
정곡을 찔려서 살짝 아프긴하다.
MBTI는 그런가? 싶은게 있긴했는데 이건 ChatGPT가 분석한거긴 하지만 그 전에 그래프만 봐도 대략적으로 수긍이 가는 수치이다.
독립된 환경에서 창의적인(aka 온갖) 방법으로 일을 처리하는 것을 추구하는 스타일이라는게 그대로 들켜버렸고,
평소에 좀비처럼 지내다가 특정 상황(나밖에 할 사람이 없을 때)에 억텐 끌어올려서 처리하고 돌아온다거나..
내가 하는 일에 완벽을 기한다고 전체적인 일정 케어에 소홀하다거나..
한 번 실수 하는 것은 너그럽게 넘어가지만 2번째부터는 용서없이 쓴소리를 한다거나..
분석 결과를 볼때마다 머리속에 특정 장면들이 스쳐지나갔다.
그러면 마지막으로 개발자라는 나의 직업에 맞추어서 조언을 구해보자.
강점
- 공정성 및 정직성:
- 당신은 정직하고 공정하게 일하는 성향이 강합니다. 이는 동료나 상사, 클라이언트와의 신뢰를 쌓는 데 매우 유리합니다. 개발자라면 윤리적인 코딩, 투명한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협업에서의 신뢰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 강점은 특히 팀 리더십 역할로 나아갈 때 매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또한, 정직성은 프로젝트에서 어려운 부분이나 문제가 생길 때 이를 솔직하게 인정하고 해결하려는 태도를 유지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신뢰받는 개발자로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 개방성:
- 창의성과 탐구심이 높다는 것은 새로운 기술이나 트렌드에 대해 관심이 많고, 변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능력입니다. 기술이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최신 기술을 배우고 적용하는 능력은 큰 경쟁력입니다.
- 완벽주의 및 성실성:
- 목표 지향적이고 세부 사항에 신경 쓰는 완벽주의 성향은 높은 품질의 코드를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프로젝트 관리에서 꼼꼼하고 체계적인 접근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코드 품질이나 프로젝트 결과물을 신경 쓰는 기업이나 팀에서 신뢰받는 개발자로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
약점
- 외향성의 부족:
- 외향성이 낮다는 것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에너지를 많이 얻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팀 활동이나 회의에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거나 네트워킹에 에너지를 쏟는 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팀 프로젝트에서 협업을 중요시하는 환경에서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조언: 외향적인 활동이 부족한 것은 약점이라기보다는 성향 차이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필요할 때에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명확히 표현하고, 중요한 상황에서는 더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방법을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코드 리뷰나 팀 미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정서적 민감성:
- 두려움(Fearfulness)이 높다는 것은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과도한 불안감을 느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압박감이나 데드라인에 직면했을 때 심리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조언: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단계별로 달성하는 방법을 쓰거나, 명상이나 운동 등을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겸손의 부족:
- 겸손이 낮다는 것은 자신을 남들보다 특별하게 여기거나, 자신의 성취나 능력을 자랑하고 싶은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때때로 팀에서 자신이 너무 많은 주도권을 잡으려 하거나 지나치게 자신감 있는 모습으로 비춰질 수 있습니다.
조언: 자신의 능력에 자부심을 가지는 것은 좋지만, 팀 내에서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협력하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개발 프로젝트에서는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고, 팀원들과의 협업을 통해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네.. 명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