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Jungle 간단한 TIL (2024.10.29)

@developer/takealittle.time·2024년 10월 29일
0

Jungle

목록 보기
16/21

요점만 간단히 남기는 '간단 TIL'.


1. HTTP GET 요청과 POST 요청의 가장 큰 차이점

  • GET 요청은 데이터를 URL의 일부(query string)로 전송

    • GET 요청의 URL 길이에는 브라우저나 서버에 따라 제한이 있다. 이로 인해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제한된다.
  • POST 요청은 데이터를 요청 본문(body)에 포함

    • POST 요청은 'Content-Length'와 'Content-Type' 같은 추가적인 헤더 정보를 필요로 한다.

2 . 파일 디스크립터 (File Descriptor)란?

  • 운영체제에서 파일이나 다른 입출력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추상화하는데 사용되는 정수.

  • 파일 디스크립터를 통해 운영체제는 파일, 파이프, 소켓 등 다양한 입출력 리소스를 일관된 방식으로 관리.

  • ex) 파일을 열면 운영체제는 해당 파일을 가리키는 파일 디스크립터를 프로그램에 제공.

  • Unix/Linux 시스템에서 표준 입력의 파일 디스크립터 번호는 0, 표준 출력은 1, 표준 에러는 2.

3. TCP에서 3-way handshake 절차

  1. 클라이언트 → 서버 SYN(Synchronize) 패킷 보내 연결 요청
  2. 클라이언트 ← 서버 SYN-ACK(Synchronize-Acknowledge) 패킷으로 응답.
    연결 요청을 받았음을 알리고, 자신도 연결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냄.
  3. 클라이언트 → 서버 ACK(Acknowledge) 패킷을 보내 연결 확정.

4. TCP와 UDP에서 패킷 손실 시 대처 방법

4-1. TCP

  • 패킷 손실 발생 시 자동으로 재전송 시도.
    수신자는 받은 패킷에 대해 확인 응답(ACK) 전송, 송신자는 ACK를 받지 못한 패킷을 재전송.

4-2. UDP

  • 패킷 손실에 대해 자체적으로 대처 X.
  • UDP는 확인 응답, 재전송 기능 X
  • 패킷 손실 발생 시 이를 Application 레벨에서 처리 필요.

* 이미지 / 자료 출처

profile
능동적으로 사고하고, 성장하기 위한. 🌱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