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작업 처리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처럼 순차적인 처리가 중요시 되면서 프로그램 전체가 유기적인 연결이 될수있도록 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다. 장점 컴퓨터의 작업처리 방식과 비슷하다실행속도가 빠르다단점유지보수가 어렵다.같은 로직을 이용하
최근 SEO라는 말을 굉장히 많이 듣게 된다.현재 개발중인 프로젝트에 검색엔진에서의 사용자 유입량을 높이기 위해 나오는 이야기인데그래서 SEO가 뭔지 알아보고 싶었다,한국어로는 검색엔진 최적화, 영어로는 Serch Engine Oprimization을 줄여서 SEO라고
오늘은 어떤분에게 그런 질문을 받았다, "css-in-js의 단점은 무엇일까요?" 나는 멍청하게도 jsx요? 라고 대답하였고 내 얕은 지식이 드러나게 되었다. 그래서 jsx와 css-in-js를 공부해보았고 일단 jsx부터 정리를 해보려 한다. jsx문법이란? React공식 문서에 따르면 jsx는 자바스크립트의 확장이라고 한다. jsx는 React "엘...
"React를 사용하여 개발을 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요즘 정말 많이 보인다. 물론 최근에 개발에 입문하게된 나또한 React환경에서 프론트 개발을 하고있다. 그런데 일을하다 문득 든 생각이 있었다. 이놈의 라이프 사이클은 어떻게 될까? 그래서 오늘은 블로그에 적어보려
요즘 개인적으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디자인패턴에 대한 고민이 생겼다.기존 내가 사용하던 패턴은 코드캠프에서 배웠던 container-presenter 패턴이었지만,최근 추세와는 조금은 떨어진 부분이 보여 atomic패턴을 도입해볼까 고민을 하게되었다.그
최근에 프로젝트에 결제모듈을 연동하면서 프론트단에서 해시를 생성할일이 있었다. 근데 구글링을 해봐도 너무 어렵더라.. 그래서 까먹기 전에 적어보려고 한다!프론트단에서 해시 생성하기! 사실 이건 Next.js에서 생성하기 보다는 node.js의 내장함수를 이용해서 만드는
요즘 나는 회사에서 MUI를 이용하여 개발을 하고있다. 처음엔 스타일드 컴포넌트가 아닌 MUI를 이용해서 개발을 한다는것에 거부감이 들기도 했지만mui라는 녀석도 상당히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는 친구인것같아서 이렇게 블로그에 글을 적어보고자 한다내가 처음 mui를 접하게
문제설명정수를 담고 있는 배열 arr의 평균값을 return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보세요.나는 반복문을 이용하여 arr의 인풋값을 result에 더해주었고result를 전체 인덱스의 길이로 나눠주었다.
문제 설명정수 num이 짝수일 경우 "Even"을 반환하고 홀수인 경우 "Odd"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주의사항num은 int 범위의 정수입니다.0은 짝수입니다.내가 푼 코드나는 조건문을 통해 num 이라는 인풋값을 2로 나누어 나머지값이 0
문제 설명프로그래머스 모바일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고지서를 보낼 때 고객들의 전화번호의 일부를 가립니다.전화번호가 문자열 phone_number로 주어졌을 때, 전화번호의 뒷 4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를 전부 \*으로 가린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solution을
오늘의 두번째 문제다나는 이 문제를 풀때 s라는 인풋에 대해 싸그리 Number로 리턴하게 만들었다.
오늘부터 다시금 마음을 다잡고 알고리즘 공부를 해보려고 한다. 한번 풀어보자! 문제설명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배열 arr의 각 원소는 숫자 0부터 9까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하나만 남기고 전부 제거하려고 합니다.
2022년 새해가 밝은지 어느덧 열흘이 지났다, 코드캠프에서의 생활도 끝이 다가온다는 말이겠지..오늘은 코드캠프에서의 생활을 다시한번 상기하며 회고를 적어보려고 한다. 직업군인으로 복무하였던 나는 2021년 11월 30일 전역을 하게되었다,전역을 앞둔 10월 나는 전역
오늘은 결제시스템을 배운다. 기존것도 잘 못하는 느낌인데 결제까지 들어가다니!!!\-결제- 크게 두가지로 나눠진다. 일반결제카드결제계좌이체무통자입금정기결제카드결제이러한 기능들은 결제라는 큰 틀로 다같이 들어오는것이 아니라 하나하나 넣어줘야 한다고 한다. 보통 우리는 결
어느덧 이곳에 온지도 6주가 되었다.. 매일매일 완성해야되는 과제가 줄어들기는 커녕 늘어만 가고있다.. 포트폴리오는 가지고 갈수 있을까... 26일차인 오늘은 브라우저 저장소를 배웠다. 브라우저 저장소에는 크게 세가지가 있다. 우리가 토큰을 넣어두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
어느덧 이곳에 온지도 5주차가 되었다. 아무것도 모르는놈이 여기에서 몇주 하더니만 그래도 제법 알아듣기는 하는것같다. 오늘은 21일차 수업내용을 적어보려고 한다. 오늘의 주제1\. props, data, perv, graphql-variables2\. 정규표현식3\.
어느덧 코드캠프도 17일차가 되었다..내가 잘 따라가고 있는게 맞는지 잘 모르겠다.. 쉽지않네.. 그래도 열심히 해보자!오늘, 내일은 백단에서 하는일들을 배운다. 프론트엔드를 공부하고있지만 백엔드에 대한 이해도가 전혀 없으면 안되니까백엔드 부분을 배우는것같다. 한번 열
우리는 함수형을 배웠지만 오늘은 class형을 배울것이다. 최근들어 많은 기업들이 함수형으로 넘어가고 있는 추세지만 기존부터 서비스 되고있던 웹의경우 아직 함수형을 적용하지 못한 경우가 있어 class형을 배워둘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class란? 쉽게 보자면 물건만드
오늘은 이상하게 쉬운것같지만 어려운 기능을 배웠다. 레이아웃과 글로벌 스타일 그리고 캐러셀 이미지이다. 레이아웃이란?디자인 ·광고 ·편집에서 각 구성요소를 공간에 효과적으로 배열하는 일, 또는 그 기술사전적 의미로 서는 위의 내용이 맞지만 우리에게 레이아웃은 전체적인
어느덧 시간을 달려 코드캠프도 12일차가 되었다. 그동안 못했던 기능을 구현하는것과 뒤쳐진 진도를 맞추기 위해 나는 밤새 코딩을 했다.... 그래서 하루가 지나 벨로그에 글을 쓰게 되었다12일차엔 스크립트를 이용한 모달 사용법을 배웠다. 모달은 알림창과 비슷한 친구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