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치리눅스를 깔아볼건데요...

타샤's 월드·2025년 6월 17일
0

새벽에는 역시 사람이 미치는듯.

대상은 2022년 2월에 산 갤럭시북.
너무 느려져서 안쓴지 오래됐고, 앞으로도 안 쓸 것 같다.

아치리눅스는 한번 꼭 해보고 싶다고 평소에 생각하긴 했는데, 야밤에 발작와서 일단 iso 파일부터 구움.
진짜 너무 할거 많은데 뭔 지랄인지 나도 잘 모르겠음.
하다가 중도 포기할 수도 있음ㅇㅇ

https://wiki.archlinux.org/title/Installation_guide


usb 굽기

  • archlinux-2025.06.01-x86.64.iso 파일을 받아야 하는데 공식문서에서 토렌트로 받으라 해서 10년만에 토렌트를 설치했음..ㄹㅇ...
  • 루퍼스 포터블에서 ISO파일 선택후 파티션 구성 gpt로 변경 한 다음에 시작.
  • GPT는 bios 형태가 상대적으로 최신인 UEFI에 맞는 디스크 형식. EFI 파티션을 통해 OS 로딩하기 때문에 좀 더 빠르다고 한다.

BIOS 설정

  • usb를 꼽았으면 이제 bios 설정에서 os 를 변경해줘야 한다.
  • BOOT 들어가서 모든 boot 모드를 다 꺼준다. (이 지랄을 새벽 3시35분에 하고 있다..진짜...)
  • 부팅 디바이스 우선순위를 UEFI usb 로 바꾸고 저장버튼을 클릭한다.
  • 알아서 좀 뭐가 설치되는 거 같더니 익숙한 리눅스 cli가 등장한다.

wifi 연결

iwctl : 리눅스에서 와이파이 연결 유틸리티 쉘 진입
device list: wlan0가 내 컴퓨터 무선랜카드
station wlan0 scan: 주변 와이파이 찾기
station wlan0 get-networks: 주변 와이파이 목록 보기
station wlan0 connect <와이파이명> : 연결
exit

디스크 파티션 분배

lsblk: 파티션 확인

기존 파티션은 sda1에 15.1G가 있고.nvme0n1에 총 238.5G가 있음.
이중 sda는 os 아치 설치 이미지라 건드리면 안됨.

1) 파티션 만들기 cfdisk

cfdisk /dev/nvme0n1

  • cfdisk로 들어가보면 다 윈도우랑 마이크로소프트가 잡아먹고 있는 디스크란걸 알 수 있다.
  • 나는 윈도우 다 날려버릴 계획이기 때문에 EFI System인 /dev/nvme0n1p1을 제외하고 다 delete.
  • 그리고 나머지 모든 용량을 Linux Filesystem으로 재생성.
  • 그래봤자 238G 밖에 안나옴.
    수정-> write -> quit

2) 파일시스템 만들기

  • mkfs.ext4 /dev/nvme0n1p2 = ext4 규칙으로 make filesystem
    ext4 형식의 저장 규칙을 이 위치에 적용

3) 마운트

  • 리눅스는 장치도 디렉토리처럼 마운트해서 사용한다
  • p2를 마운트하면서 /mnt /mnt/boot가 덮어씌워지기 때문에 p1도 마운트
  • 그리고 마운트하는 디렉토리가 /mnt /mnt/boot인건 리눅스 공식이니까 괜히 건들지 말자
mount /dev/nvme0n1p2 /mnt
mkdir /mnt/boot
mount /dev/nvme0n1p1 /mnt/boot

pacstrap 기본 설치

아치리눅스에서는 뭐 설치할때 pac ~ 어쩌구로 시작함?
pacstrap -K /mnt base linux linux-firmware nano
이거 하면 부트스트랩처럼 기본 필수 패키지가 다 /mnt에 설치된다

chroot 기본 환경 구성

  • genfstab -U /mnt >> /mnt/etc/fstab
    fstab = 파일 시스템 테이블
    부팅할때 /mnt 디렉토리 바라볼 수 있도록 테이블 파일을 만들어서 저장
  • arch-chroot /mnt
    change root = 설치된 /mnt 환경으로 들어옴
    순서명령어설명
    1ln -s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타임존 설정
    2hwclock --systohc하드웨어 시계 동기화
    3nano /etc/locale.genen_US.UTF-8 UTF-8지역 설정 파일 수정
    4locale-genlocale 파일 생성
    5echo "LANG=en_US.UTF-8" > /etc/locale.conf언어 설정
    6echo "archbox" > /etc/hostname호스트네임 설정 (마음대로!)
    7passwdroot 비밀번호 설정

grub 부트로더

1) chroot 내부에 일단 grub 포함 패키지 설치
pacman -S grub efibootmgr networkmanager sudo base-devel git zsh vim neovim

2) grub 설치
grub-install --target=x86_64-efi --efi-directory=/boot --bootloader-id=GRUB
=> 4비트 UEFI 시스템용 부트로더를 /boot 디렉토리에서 찾아서 GRUBd이라는 이름으로 설치할거다

아니 근데 grub 왜 필요해요? 지금까지 리눅스 환경 잘 쓰고 있었잖아요??
응.. 아니야..
이제까지 작업한 리눅스는 USB에 있는 설치 작업용 가라 리눅스 환경이고 실제 윈도우에 리눅스 부팅 된적 없음.
부트로더 설치해야 완전히 리눅스 부팅된다는거....

3) grub-mkconfig -o /boot/grub/grub.cfg => 부트메뉴 생성

4) systemctl enable NetworkManager 네트워크 연결

리부팅

exit                 # chroot 종료
umount -R /mnt       # 모든 마운트 해제
reboot               # 재부팅

gui 패키지들 설치

pacman -S xorg plasma kde-applications sddm
systemctl enable sddm gui 로그인 매니저 활성화
reboot


네 제가 아치 사용자입니다

profile
그때 그때 꽂힌것 하는 개발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