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투자 증권 API 5) [국내주식] 업종/기타

Tasker_Jang·2025년 3월 19일
0

국내주식 - 업종/기타

한국투자증권에서는 국내 업종과 관련된 다양한 API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API를 활용하면 업종별 지수 정보, 세부 분석 데이터를 쉽게 수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요 업종 현재지수와 구분별 전체시세 API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국내업종 현재지수 API

  • API 경로: /uapi/domestic-stock/v1/quotations/inquire-index-price
  • 트랜잭션 ID: FHPUP02100000
  • Method: GET

주요 요청 파라미터

  • FID_COND_MRKT_DIV_CODE: 시장 구분 코드 (U: 업종)
  • FID_INPUT_ISCD: 업종코드 (예: 코스피(0001), 코스닥(1001), 코스피200(2001))

응답 데이터

{
  "bstp_nmix_prpr": "857.60",         // 업종 지수 현재가
  "bstp_nmix_prdy_vrss": "-1.61",     // 업종 지수 전일 대비
  "prdy_vrss_sign": "5",              // 전일 대비 부호
  "bstp_nmix_prdy_ctrt": "-0.19",     // 업종 지수 전일 대비율(%)
  "acml_vol": "1312496",              // 누적 거래량
  "prdy_vol": "1222188",              // 전일 거래량
  "acml_tr_pbmn": "11507962",         // 누적 거래 대금
  "prdy_tr_pbmn": "11203385",         // 전일 거래 대금
  "bstp_nmix_oprc": "863.69",         // 업종 지수 시가
  "bstp_nmix_hgpr": "864.24",         // 업종 지수 최고가
  "bstp_nmix_lwpr": "854.72",         // 업종 지수 최저가
  "ascn_issu_cnt": "828",             // 상승 종목 수
  "uplm_issu_cnt": "5",               // 상한 종목 수
  "stnr_issu_cnt": "94",              // 보합 종목 수
  "down_issu_cnt": "716",             // 하락 종목 수
  "lslm_issu_cnt": "1",               // 하한 종목 수
  "dryy_bstp_nmix_hgpr": "890.06",    // 연중 업종지수 최고가
  "dryy_bstp_nmix_lwpr": "786.28"     // 연중 업종지수 최저가
}

활용 방안

  1. 시장 심리 파악: 상승/하락 종목 비율을 통한 시장 심리 분석
  2. 업종 모멘텀 분석: 전일 대비 등락률과 거래량 변화를 통한 업종 모멘텀 판단
  3. 연중 최고/최저 분석: 현재 지수와 연중 최고/최저 대비 분석을 통한 매매 타이밍 포착

2. 국내업종 구분별전체시세 API

  • API 경로: /uapi/domestic-stock/v1/quotations/inquire-index-category-price
  • 트랜잭션 ID: FHPUP02140000
  • Method: GET

주요 요청 파라미터

  • FID_COND_MRKT_DIV_CODE: 시장 구분 코드 (U: 업종)
  • FID_INPUT_ISCD: 업종코드 (예: 코스피(0001), 코스닥(1001), 코스피200(2001))
  • FID_MRKT_CLS_CODE: 시장 구분 코드 (K: 거래소, Q: 코스닥, K2: 코스피200)
  • FID_BLNG_CLS_CODE: 소속 구분 코드 (0: 전업종, 1: 기타구분, 2: 자본금구분 등)

응답 데이터

API는 두 가지 형태의 응답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1) output1 - 전체 시장 요약 정보

{
  "bstp_nmix_prpr": "2648.76",        // 업종 지수 현재가
  "bstp_nmix_prdy_vrss": "34.96",     // 업종 지수 전일 대비
  "prdy_vrss_sign": "2",              // 전일 대비 부호
  "bstp_nmix_prdy_ctrt": "1.34",      // 업종 지수 전일 대비율(%)
  "acml_vol": "584715",               // 누적 거래량
  "acml_tr_pbmn": "10001487",         // 누적 거래 대금
  "ascn_issu_cnt": "628",             // 상승 종목 수
  "down_issu_cnt": "250",             // 하락 종목 수
  "stnr_issu_cnt": "58"               // 보합 종목 수
}

2) output2 - 세부 업종별 정보

{
  "bstp_cls_code": "2001",            // 업종 구분 코드
  "hts_kor_isnm": "KOSPI200",         // 업종명
  "bstp_nmix_prpr": "355.52",         // 업종 지수 현재가
  "bstp_nmix_prdy_vrss": "4.31",      // 업종 지수 전일 대비
  "prdy_vrss_sign": "2",              // 전일 대비 부호
  "bstp_nmix_prdy_ctrt": "1.23",      // 업종 지수 전일 대비율(%)
  "acml_vol": "118963",               // 누적 거래량
  "acml_tr_pbmn": "7078909",          // 누적 거래 대금
  "acml_vol_rlim": "100.00"           // 누적 거래량 비중(%)
}

활용 방안

  1. 업종 로테이션 분석:

    • 다양한 업종의 상대적 성과를 비교하여 자금 이동 패턴 파악
    • 업종별 모멘텀 분석을 통한 투자 대상 업종 선정
  2. 섹터 배분 전략 수립:

    • 상승 모멘텀이 강한 업종 식별 및 투자 비중 조정
    • 업종별 거래량 변화를 통한 자금 유입/유출 분석
  3. 테마 투자 전략:

    • K200 중소형주, K200 가치저변동성 등 특정 테마 지수의 성과 분석
    • 레버리지/인버스 지수 모니터링을 통한 단기 트레이딩 기회 포착
  4. 업종 강도 분석:

    • 업종별 누적 거래량 비중을 통한 시장 관심도 측정
    • 상위 업종 내 개별 종목 스크리닝을 위한 기초 자료 활용

활용 사례: 업종 분석 대시보드 구축

이러한 API를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업종 분석 대시보드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1. 업종 히트맵:

    • 다양한 업종의 등락률을 히트맵으로 시각화
    • 색상 농도로 등락률의 강도 표현 (녹색: 상승, 적색: 하락)
  2. 업종 모멘텀 트래커:

    • 업종별 상대 모멘텀 지표 계산 및 시각화
    • 단기/중기/장기 모멘텀 비교 분석
  3. 업종 순환 분석기:

    • 업종 간 상대 성과의 시계열 분석
    • 업종 로테이션 사이클 식별 및 예측
  4. 업종 자금 흐름 모니터:

    • 업종별 거래대금과 거래량 변화 추적
    • 주요 업종으로의 자금 유입/유출 패턴 분석

이러한 AP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시장의 움직임을 업종 수준에서 파악하고, 더 정교한 투자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별 종목 분석 이전에 업종 분석을 통해 투자 방향성을 먼저 설정하는 하향식(Top-down) 접근 방식에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
터널을 지나고 있을 뿐, 길은 여전히 열려 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