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Deep Dive -7장 (연산자)

김명성·2022년 2월 23일
0

연산자(Operator)


  1. 연산자는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한다.
  2. 연산자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연산 등을 수행해 하나의 값을 만든다.
  3. 피연산자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한다.
  4. 피연산자와 연산자의 조합으로 이뤄진 연산자 표현식도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다.
4번이 이해가 어려울 수 있는데 쉽게 생각하면, 하나 이상의 답을 도출해내는 계산식을 값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function sum(x,y){
  return x + y;
}
sum(3,4)
x + y는 피연산자 x,y와 연산자 +의 조합으로 하나의 표현식이 되었고, 이것도 곧 값이라고 할 수 있다.

연산자(Operator)의 종류


단항 산술연산자

단항 산술 연산자는 1개의 피연산자를 연산하여 숫자값을 만든다
전위 증가/감소 연산자 - 먼저 피연산자의 값을 증가/감소시킨 후 다른 연산 실행한다.
++i먼저 값i가 증가된다.--i 먼저 값 i가 감소된다.
후위 증가/감소 연산자 - 먼저 다른 연산을 수행한 뒤, 피연산자의 값을 증가/감소시킨다.
i++다른 연산 수행 후 i 값을 증가시킨다.i--다른 연산 수행 후 i 값을 감소시킨다.

전위/후위 단항 산술 연산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 예제를 이해해야 한다.

let x = 5, result

result = x++;
console.log(result,x); // output ?

result = ++x;
console.log(result,x); // output ?

result = x--;
console.log(result,x); // output ?

result = --x;
console.log(result,x); // output ?
단항 산술 연산자에는 ++,-- 뿐만 아니라 -,+ 도 있다.
+ 단항 산술 연산자는 부수효과는 없지만, 타입을 숫자 타입으로 변환하여 나타내준다.
중요한점은 변수의 값을 바꾸는 것이 아닌 새로운 값을 생성해 반환한다.
let x = '1';
console.log(+x) // output 1

let x = true
console.log(+x) // output 1

let x = false
console.log(+x) // output 0
- 단항 산술 연산자도 부수효과는 없고 피연산자의 부호를 반전하고, 숫자 타입으로 변환하여 나타내준다.
중요한점은 변수의 값을 바꾸는 것이 아닌 새로운 값을 생성해 반환한다.
let x = '-10'
console.log(-(x)); // output 10

1 + true = 2

암묵적 타입 변환, 타입 강제 변환

위 예제에서 주목할 것은, 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 없이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 변환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1 + true를 연산하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암묵적으로 불리언 타입의 값인 true를 숫자 타입인 1로 타입 강제 변환 후 연산을 수행한다.

연쇄할당

let a,b,c;

a = b = c = 0;

console.log(a,b,c) // output : 0 0 0
할당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되지 않을 것처럼 보이지만, 할당문 또한 값으로 평가되는 표현식인 문으로서 할당된 값으로 평가한다. 따라서 위의 예제와 같이 할당문을 다른 변수에 할당할 수도 있다.
위의 연쇄 할당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할당하는 할당연산자의 특징을 통해 동일 값을 할당한 것이다.

서두에서 서술한 피연산자와 연산자의 조합으로 이뤄진 연산자 표현식도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을 기억하자.


비교연산자

동등 비교 연산자 ( == )는 예측하기 어려운 결과를 만들어내므로 사용을 지양하고 대신 일치 비교 연산자 ( === )를 사용한다.
일치 비교 연산자는 타입과 값을 모두 비교하는데, 주의할 점은 NaN이다.

NaN === NaN // false
Number.isNaN(1 + undefined) // true
Number.isNaN(10) // false
NaN은 자신과 일치하지 않는 유일한 값이다.따라서 숫자가 NaN인지 확인하려면 Number.isNaN을 사용한다.
또한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양의 0과 음의 0이 있는데, 비교하면 true를 반환한다.
0 === -0; // true
0 == -0 // true

-0 === +0; // true
Object.is(-0,+0) // false

삼항연산자와 if ...else문의 차이

삼항 조건 연산자의 첫 번째 피연산자는 조건식이므로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조건문이다. 하지만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if ...else 문과 중요한 차이가 있는데,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값처럼 사용할 수 있지만, if ...else문은 표현식이 아니기 때문에 값처럼 사용할 수 없다.

let x = 10;
let result = if(x % 2) //{ condition statement }
// output : SyntaxError : Unexpected token if

let y = 10;
let result = y % 2 ? '홀수' : '짝수' ;
console.log(result) // output : 짝수
조건에 따라 값을 결정해야 한다면. if ...else문보다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을 사용하는 편이 유리하다. ( 그래서 JSX에 if ...else문이 들어가는 것을 지양하는구나!)

논리연산자

논리연산자는 우항과 좌항의 피연산자를 논리 연산한다.
부정 논리 연산자의 경우 우항의 피연산자를 논리 연산한다.

논리연산자의미
||논리합(OR)평가된 값이 boolean값이 아닐 수도 있다.
2개의 피 연산자 중 어느 한쪽으로 평가된다.
&&논리곱(AND)평가된 값이 boolean값이 아닐 수도 있다.
2개의 피 연산자 중 어느 한쪽으로 평가된다.
!부정(NOT)논리부정연산자는 항상 boolean값을 반환한다.
피연산자가 불리언 값이 아니라면 암묵적 타입 변환을 실시한다.

드모르간의 법칙

  • 논리 연산자로 구성된 복잡한 표현식은 가독성이 좋지 않다.
  • 이러한 경우 드 모르간의 법칙을 활용하면 복잡한 표현식을 가독성 좋은 표현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x || y) === (!x && !y)
!(x && y) === (!x || !y)
!는 부정연산자다. 모든걸 부정(반대)하는 연산자로 생각한다면 조금 더 쉽게 생각할 수 있겠다. &&(논리곱)의 반대는 ||(논리합) x , y 도 부정하여 !x ,!y, &&는 ||로, ||은 &&으로.

쉼표연산자

let x,y,z;
x = 1, y = 2, z = 3; // 3이 출력된다. 그렇다고 x,y의 값이 3인 것은 아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