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st foo = 10;
}
let x = 2;
let kind;
if (num > 0) kind = '양수';
else kind = '음수';
const num = 2;
const kind = num ? (num > 0 ? '양수' : '음수') : '영';
console.log(kind); // output : 양수
위의 (num > 0 ? '양수' : '음수')는 표현식이다.
즉 삼항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되는 표현식을 만든다.
따라서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값처럼 사용할 수 있기에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하지만 if...else는 문이기 때문에 값으로 할당할 수 없다.
const year = 2000;
const month = 2;
const day = 0;
switch (month) {
case 1: case 3: case 5: case 7: case:8 case 10: case 12:
day = 31;
break;
case 4: case 6: case 9: case 11:
day = 30;
break;
case 2:
days = ((year % 4 === 0 && year % 100 ! == 0) || (year % 400 === 0)) ? 29 : 28;
break;
default :
console.log('Invaild month')
}
console.log(days); // output : 29
function googoodan(num = 9){
for(let i = 1; i <= num; i++){
for(let j = 1; j <= num; j++){
console.log(i +'X'+ j + '=' + i * j)
}
}
}
googoodan();
반복문은 조건식의 평과 결과가 참인 경우 코드블록을 실행하고, 그 후 조건식을 다시 평가하여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위 반복문의 정의를 상기하면 구구단 함수가 어떻게 작성되는지 어렵지 않게 느껴질 것이다.
let count = 0;
while(true{
console.log(count);
count++;
if(count === 3) break;
}
let string = 'Hello Worild';
let search = 'l';
let index = "";
//문자열은 유사 배열이므로 for문으로 순회할 수 있다.
for(let i = 0; i < string.length; i+){
if(string[i] === search){
index = i;
break;
}
}
console.log(index) // outpu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