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 공통설정(왼쪽 오른쪽만)
1. configure terminal
2. interface ethernet 1-2
3. no shutdown
4. channel-group 1 mode active
lacp 설정
5. interface port-Channel 1
6. switchport mode trunk
tagged 설정
7. 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mlag관련 vlan 전부다 넣기]
extreme 장비랑은 다르게 6번 명령어만 입력해주면 모든 vlan을 다 허용해준다
이건 개별 vlan만 허용해주기위해 사용하는 옵션 (특별한일 없으면 안해줘도됨)
8. vlan 4094
9. no spanning-tree vlan-id 4094
10. (스위치 개별설정 후)
다운스트림 설정
11. interface ethernet 3
12. no shutdown
13. channel-group 3 mode active
14. interface port-Channel 3
15. switchport mode trunk
16. mlag 3
왼쪽 스위치
1. interface vlan 4094
2. ip address 90.1.1.1/30
vlan에 ip 할당
3. no shutdown
4. mlag
5. no mlag configuration
mlag를 지우고싶은경우
6. domain-id mlag-peer
7. local-interface vlan 4094
8. peer-address 90.1.1.2
9. peer-link port-Channel 1
vlan 단위로 묶어 mlag 설정
상대 스위치의 peer 정보 기입
오른쪽 스위치
1. interface vlan 4094
2. ip address 90.1.1.2/30
vlan에 ip 할당
3. no autostate
4. mlag
5. no mlag configuration
mlag를 지우고싶은경우
6. domain-id mlag-peer
7. local-interface vlan 4094
8. peer-address 90.1.1.1
9. peer-link port-Channel 1
vlan 단위로 묶어 mlag 설정
상대 스위치의 peer 정보 기입
아래쪽 스위치
1. interface ethernet 1-2
2. no shutdown
3. channel-group 1 mode active
4. interface port-Channel 1
5. switchport mode trunk
이것도 Extreme 스위치와 개념은 똑같다
- peer 통신용 vlan 생성
- 1개이상의 포트들을 lacp 설정(보통 2개이상)
- 본인의 mlag peer ip 설정
- mlag 도메인 생성
- 상대방의 mlag peer 정보 입력
- 다운스트림 포트 설정
순으로 설정된다
그림으로 보면 이런느낌이다
https://arista.my.site.com/AristaCommunity/s/article/how-to-configure-link-aggregation-groups-in-eos
http://ithitman.blogspot.com/2014/08/configuring-arista-mlag-basic-setup.html!
스위치 공통설정
1. configure terminal
2. interface vlan 100
3. vrrp [가상라우터 넘버] ipv4 [vip 주소]
ex)
1. configure terminal
2. interface vlan 100
3. vrrp 1 ipv4 100.100.100.1
왼쪽 스위치
1. vrrp [가상라우터 넘버] priority-level [0 ~ 250]
선택사항임 해당 스위치를 matser로 만들고싶을경우에 하면됨
그림으로 보면 이런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