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ista 장비 명령어

메모장·2024년 10월 23일
0

Arista 장비

목록 보기
1/2

1. 설정/설정 해제

설정해제
no [설정한 명령어]
show

1.1 작동계층(작동 모드)

switch>

사용자 모드

switch>enable
switch#

특권모드

switch#configure terminal
switch(config)#

전역 설정 모드 - 기본적으로 뭔가 설정을한다면 웬만해선 해당모드에서 설정한다

1.2 스위치의 모든 설정 확인

sw1(config)#show running-config

2. 계정

2.1 계정생성

sw1(config)#username [사용자이름] privilege [권한레벨 0~15] secret [비밀번호]

계정 비밀번호를 평문으로 저장하거나, 암호화시켜 저장하느냐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2.2 계정삭제

sw1(config)#no username [지울 사용자 이름]

2.3 계정목록확인

sw1(config)#show users accounts

sw1(config)#show users detail

서로 표시되는 형식이 다름

2.4 계정비밀번호 변경

sw1(config)#username [사용자명] secret [바꿀 비밀번호]

3. Vlan 생성

sw1(config)#vlan [vlan id]
sw1(config-vlan-vlan id)#name [vlan 이름]

ex)
sw1(config)#vlan 50
sw1(config-vlan-50)#name v50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Et1, Et2, Et3, Et4, Et5, Et6
                                                 Et7, Et8
50    v50                              active    

4. 인터페이스 Vlan 매핑

sw1(config)#interface ethernet [인터페이스 넘버]
sw1(config-if-Et1)#switchport access vlan [추가할 vlan id]

ex)
sw1(config)#interface ethernet 1
sw1(config-if-Et1)#switchport access vlan 50

4.1 생성된 Vlan 및 인터페이스 매핑 확인

sw1(config)#show vlan

5. Ip 할당

sw1(config)#interface vlan [vlan id]
sw1(config-if-Vl50)#ip address [ip/cidr로 할당]

ex)
sw1(config)#interface vlan 50
sw1(config-if-Vl50)#ip address 1.0.0.1/8

                                                                        Address
Interface        IP Address      Status       Protocol           MTU    Owner  
---------------- --------------- ------------ -------------- ---------- -------
Management1      unassigned      down         down              1500           
Vlan50           1.0.0.1/8       up           up                1500           

5.1 할당된 Ip 확인

sw1(config)#show ip interface brief

6. 인터페이스 상태 확인

sw1(config)#show interfaces status

Port       Name   Status       Vlan     Duplex Speed  Type            Flags Encapsulation
Et1               connected    50       full   1G     EbraTestPhyPort                   
Et2               connected    1        full   1G     EbraTestPhyPort                   
Et3               connected    1        full   1G     EbraTestPhyPort                   
Et4               connected    1        full   1G     EbraTestPhyPort                   
Et5               connected    1        full   1G     EbraTestPhyPort                   
Et6               connected    1        full   1G     EbraTestPhyPort                   
Et7               connected    1        full   1G     EbraTestPhyPort                   
Et8               connected    1        full   1G     EbraTestPhyPort                   
Ma1               notconnect   routed   a-full a-1G   10/100/1000    

7. 인터페이스 매핑(Trunk / Access)

sw1(config)#interface ethernet [설정할 인터페이스 넘버]
sw1(config-if-Et1)#switchport mode access

Access mode (타사 장비로는 Untagged 에 해당)

sw1(config-if-Et1)#switchport mode trunk

Trunk mode (타사 장비로는 Tagged 에 해당)

sw1(config-if-Et1)#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Trunk를 허용할 vlan id]

기본적으로 Cisco나 Arista 장비들은 Trunk 모드를하게되면 해당 스위치에 설정된 모든 Vlan을 Trunk 인터페이스에 추가한다 그래서 특정한 Vlan만 Trunk 인터페이스에 추가하고 싶을때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8. Route 설정

sw1(config)#ip routing

이걸 안해주면 라우팅이 되지않는다

sw1(config)#ip route 0.0.0.0/0 [Next-hop]

sw1(config)#ip route 0.0.0.0 0.0.0.0 [Next-hop]

디폴트라우팅 설정 명령어

sw1(config)#[목적지 네트워크대역][서브넷 마스크] [Next-hop]

sw1(config)#[목적지 네트워크대역/서브넷][Next-hop]

두가지 방식으로 Static Route를 설정할수있다

9. 스위치 초기화

  1. 스위치 부팅중 ctrl + c
    리눅스모드로 전환
  2. cd /mnt/flash/startup-config
  3. rm startup-config
  4. cp zerotouch-config startup-config
  5. chown 664 startup-config
  6. exit
    나가게되면 알아서 재부팅
  7. disable zero-touch
    부팅되고 뭔가 문제가 있을경우

https://www.arista.com/en/um-eos/eos-system-reset

10. 설정 저장

sw1(config)#write memory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