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이론을 공부해도 감이 잘 오지 않는 분들에게 어떻게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접근을 해나가면 좋을지 도움이 되고자 1부 파트였던 **함수형 사고에 대한 이론과 실습과정**을 담은 스터디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CSS는 어디부터 어디까지를 배워야 할 지 모르겠어요! > CSS in JS, TailwindCSS 이런 것들을 쓰고 있는데 글을 읽다보면 CSS 자체를 잘 알아야 한다는 글이 있어요. CSS를 잘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위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은
CSS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이론편을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연습하기 좋을지 방법에 대해서 공유 해보고자 합니다.지금은 시대가 많이 바뀌어서 figma, adobe xd, sketch와 같은 UI 디자인도구와 제플린과 같은 handoff툴이 발전되어 있고 디자이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알고리즘 공부가 미치는 영향' 과 같은 주제로 생각을 적어주실 수 있을까요? ... 공부를 하면서도 제가 짜는 코드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 것 같고.. 실무에서는 어떻게 쓰일 수 있을지? 이런 동기부여가 있으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파레토의 법칙입니다. css에서 상위 20% 스펙이 전체 css 코드의 80%를 차지한다. 실제로 실전에서 자주 쓰이는 css는 몇개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제가 쓰고 있는 현재의 Best Practice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예전 글에서는 삼천포로 빠져서 하지 못했던 프론트엔드 입문자를 위한 커리큘럼 내용에 대해서 좀 적어보려합니다. 1. 가위바위보만들기 2. 다른글자찾기게임 ....
프롤로그 안녕하세요.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은데 무엇부터 해야 할지 막막한 사람들을 위 제가 비전공자 개발자 지망생에 가르쳤던 커리큘렴(?)을 되돌아 보며 2021년 맞춤식으로 다시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node, npm 설치는 알아서 하시구요 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