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이론을 공부해도 감이 잘 오지 않는 분들에게 어떻게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접근을 해나가면 좋을지 도움이 되고자 1부 파트였던 **함수형 사고에 대한 이론과 실습과정**을 담은 스터디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나: "그래서 RxJs를 대체 할 만한게 있을까요?" > 크루: "솔직히 비동기나 시간을 다루는 데에는 Rxjs를 대체 할 만한게 없긴 하죠. 진짜 좋다고 생각해요. ... 배우기 어려워서 그렇지. 웬만한 개발자들은 배워야 할 이유를 납득하는 것 부터 어려울걸요?" >
> 참 좋은데 어떻게 표현할 방법이 없네... 오랜 기간 개발을 공부하게 되면서 여러가지 패러다임의 변화를 겪었는데 그 중에서 인상깊었던 것중에 하나는 객체지향 패러다임에서 함수형 패러다임으로 넘어오는 것이었습니다. 함수형 패러다임이 알면 쉬운데 참 설명을 하기가 어렵
설계에 관한 이야기를 먼저 쓰려고 했는데 먼저 설계의 원칙이라고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 대한 설명이 선행이 되어야 할 것 같아, 현재 제가 쓰고 있는 개발 패러다임인 반응형 프로그래밍(Reactive Programming)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제가 며칠 전에 클린소프트웨어 책을 보니 SOLID 법칙이 나오던데요, 자바나 C++ 같은 클래스 구조로 객체를 만드는 언어에서는 쉽게 따라해볼 수 있겠는데, 함수 위주로 작성하는 js, ts를 사용하는 프론트엔드에서도 사용이 가능한지, 현업에서 클린 소프트웨어를 만들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왜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써야 하는지 이유에 대해서 말해볼까 합니다. 그리고 글 말미에는 더 clean하고 safe한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당장 시작할 수 있는 간단한 팁들을 준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