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tCode]95. Unique Binary Search Trees II

임혁진·2022년 11월 21일
0

알고리즘

목록 보기
60/64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95. Unique Binary Search Trees II

문제링크: https://leetcode.com/problems/unique-binary-search-trees-ii/description/

노드가 1~n까지 있는 이진트리의 가능한 모든 형태를 구하는 문제다.

Solution

Divide and conquer

기존에 n개 노드의 이진트리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를 풀었었다. 이진트리의 형태는 루트 노드를 만든 후 왼쪽과 오른쪽에 가능한 노드의 종류를 모두 구하고 이를 다시 작은 문제로 나누는

F(n)=F(n1)F(n) = \sum{F(n-1)}

의 형태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이번에도 같은 방식으로 접근해 루트를 기준으로 왼쪽 노드, 오른쪽 노드를 구하는 작은 문제로 나누어 접근했다. 기존엔 bottom-up으로 접근했다면 이번에는 아래에 설명된 offset값의 범위를 미리 정하기 힘들기 때문에 top-down으로 접근했다.

generateTrees(n)의 경우 1~n의 노드를 이용해 이진트리를 만든다. 이 때 작은 문제로 나누게 되면 루트를 k로 정했다면 1~k-1, k+1~n의 좌우 노드들이 필요하다. 1~k-11~n과 형태가 같지만 k+1~n의 경우는 1에서 시작하지 않기 때문에 각각 1에서 k까지 옮긴 값을 offset이라고 하고 getTrees(nodeCount, offset)을 통해 결과를 얻었다.

Algorithm

  • getTrees의 결과를 저장하기 위해 dp배열을 dpTrees로 정의했다. ([nodeCount][offset]으로 저장)
  • generateTrees(n)getTrees(n, 0)을 반환한다.
  • getTrees에서 nodeCount0인 경우는 null이 담긴 배열을 반환한다.
  • dpTrees[nodeCount]가 없는 경우 이중배열을 추가해준다.
  • dpTrees[nodeCount][offset]이 없는 경우 새로 생성한다.
  • 왼쪽노드의 개수가 0개 ~ nodeCount - 1 까지 가능하고 이를 i로 반복한다.
  • 왼쪽 노드 개수를 정하면 왼쪽 노드 리스트는 getTrees(i, offset)을 통해 얻을 수 있다.
  • 오른쪽 노드 리스트도 getTrees(nodeCount - 1 - i, i + 1 + offset)으로 얻을 수 있다.
  • 왼쪽과 오른쪽에 가능한 트리종류를 모두 얻었으면 이중반복을 통해 각각 하나씩 연결해 treeResults에 추가한다.
  • 해당 값을 dpTrees[nodeCount][offset]에 저장하고 반환한다.
var generateTrees = function(n) {
  // 모양만들기 루트노드 삽입하고 (왼쪽에 n개) (오른쪽에 전체 - n)개로 추가 가능
  // 방법) 루트노드 (개수에 맞춰서 숫자 정함) make(n) nodes 함수는 
  // DP 개수, offSet offSet0: [1-2 , 2-1], offSet1: [2-3, 3-2]
  const dpTrees = [];
  const getTrees = (nodeCount, offset) => {
    if (nodeCount === 0) return [null];
    // dpTrees에 있으면 가져옴, 없으면 만들어서 가져옴
    // dpTrees에 없으므로 생성해서 저장하고 가져옴

    // dpTrees[nodeCount]가 아예 없을 때 배열 생성
    if (!dpTrees[nodeCount]) dpTrees[nodeCount] = [];
    
    // 좌우에 가능한 트리들을 가져와서 결과에 맞는 트리들을 만든다
    if (!dpTrees[nodeCount][offset]) {
      const treeResults = [];
      for (let i = 0; i < nodeCount; i++) {
        const leftTrees = getTrees(i, offset);
        const rightTrees = getTrees(nodeCount - 1 - i, i + 1 + offset);
        for (let leftTree of leftTrees) {
          for (let rightTree of rightTrees) {
            treeResults.push(new TreeNode(i + 1 + offset, leftTree, rightTree));
          }
        }
      }
      dpTrees[nodeCount][offset] = treeResults;
    }
    // 이제 존재하므로 가져옴
    return dpTrees[nodeCount][offset];
  }
  return getTrees(n, 0);
};


각 노드는 포인터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노드를 생성하는 것 보다 효율적이다. 마치 파스칼의 삼각형처럼 각 노드들이 구성되어 있고 dpTrees의 배열은 각각 노드를 포인터로 가지고 있어 복잡도는 노드의 개수를 따르고 catalan수열과 같다고 한다.

profile
TIL과 알고리즘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