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pump RMAN백업과는 다르게 논리적으로 백업하는 방식 실제 데이터들을 확인하면서 백업. -> RMAN보다 속도는 느린 편이다. pump파일 모든 데이터는 SQL에서 사용가능한 DDL,DML 문장으로 변형되어 백업. 백업후에 복구 시 DDL로 table,
기초가 탄탄해야 무너지지않는법.DBA는 대부분 회사가 경력직을 채용한다.하지만 나는 찐 뉴비 DBA처음 들어왔을 때는 DB 조금 공부해본 졸업 한달남은 대학생.TmaxTibero PoC프로젝트 90% + 전공과목 데이터베이스 10% = 무지성 DBAUser Proces
오라클을 기동하자!!흔히 알듯이거 하나면 된다.DB를 운영하는 입장에서 이거만 알면 안되는걸 알기때문에 startup을 눌렀을때 내부에서는 어떤 과정이 있는지 살펴보자.일반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전원을 켜면 운영체제의 물리적 메모리에 필요한 메모리영역을 생성해야한다.결국
최근에 DR없는 서비스 장애가 터졌다...Fuxxxxxx! Mission 서비스 중의 중간다리 역할을 해주는 놈(ex. A업무)의 스토리지 작업 중 장애가 터져버렸다. DR구축 전까지 이 놈의 비상전환용을 찾아서 매주 1회라도 데이터를 옮겨둬야한다. 지령 : 주 1
오라클 업그레이드 프로젝트 시작..!11g -> 19c새로운 서버에 19c asm rac로 설치 중 오류가 발생.혹시 몰라 private ip를 이중화를 했다.다른 곳은 안하는 곳이 꽤 많다는데 이게 끊어지면 rac가 끊어지는거다보니 이중화로 해두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일반 원장테이블을 갑자기 파티션으로 전환해라..?일반 테이블을 파티션을 해야할거같다는 현업의 요청..일단 검색하면 다 나오니까 지식 줍줍일단 안해본 작업이니 개발쪽에서 테스트 ㄱㄱ일단 테이블, 인덱스 만들기 완료.파티셔닝이 안되어있으니깐 당연한 결과다. 이제 파티션 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