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NestJS를 이번에 처음 사용해보았다. 이전에 웹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본 경험으로는 express를 간단하게 사용해 본 것이 끝이였다. 한번은 WAS를 프레임워크 없이 직접 구현해보게 되었는데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만들려고 하니 당장 express가 그리워졌다. 그런데 NestJS를 사용해보니 신세계였다. cli를 통해 폴더나 파일을 만들어주고 기본적인 세팅을 해주니 너무 편했다. 지금부터 그 사용방법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앞으로 소개할 NestJS를 활용하는 방법은 아래의 inflearn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https://www.inflearn.com/course/%EB%94%B0%EB%9D%BC%ED%95%98%EB%8A%94-%EB%84%A4%EC%8A%A4%ED%8A%B8-%EC%A0%9C%EC%9D%B4%EC%97%90%EC%8A%A4
NestJS는 TypeScript로 빌드된 node.js용 프레임워크로서 Angular의 아키텍처에서 영감을 받아 모듈성, 테스트 용이성, 그리고 재사용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내부적으로 Express와 같은 HTTP 서버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며 선택적으로 Fastify도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 npm i -g @nestjs/cli
$ nest new project-name
node를 설치하며 자동으로 설치된 npm 모듈을 사용하여 설치를 진행했고, 프로젝트의 이름을 설정해준 후 npm을 사용하도록 설정을 해주니 아래와 같은 폴더가 순식간에 만들어졌다...!!

기본예제를 실행하고 싶다면 package.json를 통해 실행명령어를 확인해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