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NestJS를 이번에 처음 사용해보았다. 이전에 웹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본 경험으로는 express를 간단하게 사용해 본 것이 끝이였다. 한번은 WAS를 프레임워크 없이 직접 구현해보게 되었는데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만들려고 하니 당장 express가 그리
새롭게 시작하기 위해 기본으로 제공된 코드 중 app.module.ts와 main.ts를 제외하고 다른 파일들을 지워준다. app.module.ts 파일도 아래와 같이 기본 형태만 남겨둔다.이제 원하는 모듈을 생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터미널 창에 입력해주면
이제 controller와 연결되어 데이터베이스 관련 로직을 처리할 service를 추가해보려고 한다.이렇게 하면 board.service.ts 파일이 생성되고 board.module.ts에는 provider로 방금 생성한 service가 추가된다.service를 만들
TypeScript와 JavaScript를 위한 ORM 라이브러리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할 때 객체 지향적인 접근을 통해 복잡한 SQL 쿼리 없이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typeORM document : https://typeorm.io
인증 방식에는 크게 쿠키-세션 방식과 jwt 방식이 있는데, 여기서는 jwt 방식을 사용했다. 그리고 NestJS의 Passport 모듈(인증을 위한 미들웨어)를 활용하여 인증을 구현했다.먼저 auth.module.ts에 jwt 모듈을 등록해준다. 이때 jwt에서 se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이벤트를 기록하는 과정으로, 이 기록들은 개발자가 코드의 동작을 이해하고 문제를 진단하며, 시스템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