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231n Lec.06 Training Neural Networks, Part 1

문소정·2022년 8월 5일
0

AIFFEL

목록 보기
60/66

목표 :
신경망을 어떻게 학습시키는지 알아보자
NN의 설정, 학습, 평가 알아보자

  • transfer learning
  • finetuning
    • 이미 학습된 가중치 모델을 새로운 네트워크를 학습시킴

💡 참고자료 : 전이학습과 finetuning


1. 활성 함수(Activation Function)

1) Sigmoid

  • 현재는 쓰지 않음
    • vanishing gradient 발생 : 포화된 뉴런은 주
    • x에 대해 미분을 하면 거의 '0'이 나오게 되는데, "x가 꾀 크거나 작으면"(포화 지점) local gradient가 0이 되어 sparce 하게 됨
    • zero-centered 0을 중심으로 되지 않아 매우 느리게 coversionce가 생김.

2) tanh(x)

3) ReLU

  • 현재 가장 default로 사용하는 activation function
  • 양수에서 saturate(포화)이 발생되지 않음
  • 연산이 효율적이다.
  • 단점 : 0보다 작을 때는 기울기가 여전히 '0'이 된다.
    • dead ReLU : data cloud 외부에서는 activate가 되지 않고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다. 뉴런의 값이 업데이트를 하다가 data cloud를 넘어서는 경우가 생겨 update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음. 약 10퍼센트
    • dead ReLU를 방지하기 위해 0이 아닌 아주 작은 0.0001 같은 learning rate를 넣어주게 된다.

4) Leaky ReLU

  • Relu의 보안점

5) ELU

  • Relu의 장점을 가지고
  • 단점 :

6) Maxout

  • 두개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어 연산량이 2배로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정리

2. 데이터 전처리(Data Preprocessing)

  • 하지만 이미지에서는 zero-centered는 일반적으로 해주지만 Normalized는 해주지 않는다.
  • Why? 0~255라는 특정 범위에 이미 들어가 있기 때문
  • 이미지에 관해서는 pca와 whitened는 해주지 않는다.
    • pca :
    • whitened : 인접하는 픽셀 간의 중복성

∴ 이미지에서 전처리는 zero-centered만 신경써주면 된다.
방식

  • 평균 이미지를 빼주는 것
  • 각 채널별로 mean값을 빼주는 것(훨씬 편리)

3. 가중치 초기화(Weight Initialization)

  • 동일한 연산을 수행하게 됨
  • symentric waiting이 발생 하지 않음

때문에 가중치 초기화하는 아이디어
1. 작은 범위의 random number를 사용한다.

  • 문제점 : 네트워크가 커지면 std 0으로 수렴 => 모든 activation이 0이 된단는 것. => vanishing gradient가 발생한다.
  1. input의 갯수를 2로 나눠준다.

4. Batch Normalization

  • vanishing gradient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아이디어
  • 학습하는 과정에 직접 안정화되게 만들어주는 방법
  • 입력값을 평균과 분산으로 정규화해주는 방법
  • 이전까지는 학습 => 간접적 적용하는 방법
    • 여태까지는 activation 함수 적용
    • 가중치 초기화를 신중하게 함
  • train에서는 mean과 std를 미리 계산하여 batch 크기로 훈련하게 되지만 test에서는 전체를 테스트한다
  • 장점
    • 네트워크 상에서 gradient flow를 개선해 줌
    • 높은 학습율을 사용할 수 있다 ⇨ 보다 빠른 학습이 가능
    • 초기화에 너무 의존 하지 않아도 됨
    • batch normalization 자체가 regularization해주는 효과를 얻는다.

💡 learning rate이 너무 작을때, 너무 큰수를 사용했을땐 어떤 일이 발생하는 가?
(정리해보자)

적절한 learning rate를 찾기 위해서는 cross validation을 진행하여야 한다.

5. Hyperparameter Optimization

  • cross validation 전략 : -> fine
    first step :
    second step :

  • Finer Search : Random vs Grid

  • 언제 hyperparameter를 필요한가?

    • network architecture : 노드의 수, hidden layer의 수 등
    • learning rate, its decay schedule, update type
    • regularization(L2, Dropout strength)
  • 이 많은 것을 가지고 모니터링 대상

  1. loss 값

  2. accuracy : loss 보다 수치에 대한 해석이 가능함(∵ 모니터링 대상으로 선호됨)

    • 보통 gap이 생기는 것이 정상이나
    •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gap이 너무 클 때는 Overfitting을 의심!
      • regularization strength을 높일 필요 있음
    • 오히려 gap이 없는 경우, capacity(파라미터의 수)를 증가(조정)해야 함
  3. weight updates/weight magnitudes의 비
    파라미터가 한번 update 되는 크기를 전체 파라미터의 크기로 나눠준 것임
    약 1/1000 수준이 되고 있는지 확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