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관련 정리본

Tino-Kim·2022년 12월 16일
0
post-thumbnail

하드웨어 관련 정리본

1. 왜 정리하려고 하는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 모델이다. i3 7세대 + 메모리 4GB + 저장 장치 128GB 정도의 스펙을 가지고 있다. 저장 장치가 많이 후달린다고 생각하여 이미 1TB 외장 하드(seagate 아빠가 사주심ㅎㅎ)를 사서 따로 백업을 해두고 있었다.

작은 데이터는 문제 없이 돌릴 수 있었지만, 공모전 데이터 같은 경우는 아예 불러오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경우도 꽤 많았다.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코딩하는 시간 << 기다리는 시간 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발열이 너무 심하다.

처음에는 데이터의 문제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같이 공모전을 준비하다가 동기들 노트북을 보게 되었는데, 나의 노트북 스펙의 문제임을 알게 되었고, 종강하자마자 내가 21살 때부터 모은 적금(돼지)의 반을 깨고, 데스크탑을 알아보게 되었다.

(지금 사용하는 노트북은 사무용으로는 아주 좋은 편이다. 사용하는데에 문제가 전혀 없다. 그저 나는 내가 사용하는 용도에 맞는 컴퓨터를 사려고 하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나는 아예 하드웨어 관련 지식이 없는 사람이다. 그래서 OKKY와 데이터 관련 네이버 카페와 친구와 친구 오빠의 도움(두 분 모두 컴공)을 받아 대충 라인을 잡아보았다.

2. 현재 노트북 스펙에 대하여 공부해보자.

1. i3, i5, i7?

일반적으로 i3 (간단한 문서 작업) < i5 (중급 사용자) < i7 (고급 사용자)이다.

2. 클럭 속도와 코어 수?

  • 코어 수(물리적 구성 단위) : 멀티(한번에 많은 작업 수행 가능) 스레딩(컴퓨터에서 수행하는 작업)이 필요한 경우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 쓰레드(소프트웨어 관점) : CPU 최적화를 위해 만들어짐. 데이터가 지나가는 통로라고 생각하면 된다.

∴ 듀얼 코어는 1개의 CPU 안에 2개의 코어가 들어있다는 의미이고, 데이터가 지나가는 통로가 4개가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 클럭 속도(GHz) : CPU 실행 속도를 의미한다. 고성능 작업이 필요 없는 경우 클럭 속도 높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 나는 클럭 속도보다 코어 수에 신경을 더 써야한다.

3. 메모리와 저장 장치

  • 메모리(RAM) : 많은 프로그램을 돌릴 때 더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다. 컴퓨터가 실시간으로 사용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16gb 1개를 꽂는 것보다 8gb 2개를 꽂는 것이 더 성능이 좋다고 한다.

  • 저장 장치(SSD) : 필요하면 추가로 달면 되니까 깊게 생각 안 해도 될 것 같다.

∴ 머신러닝과 딥러닝은 실시간으로 학습하는 정보를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가 중요하다.

4. 메모리와 저장 장치의 관계

5. 그래픽 카드

  • 그래픽 카드(GPU) : CPU(순차적 계산)와 다르게 병렬적이고 동시 계산이 가능하다.

  • 외장 그래픽 : 내장 그래픽의 계산을 도와주는 역할이다. 딥러닝에 있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주의해야 할 점은 CPU와 GPU의 성능이 너무 차이가 나게 되면 병목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적당히 맞춰줘야 한다. (GPU가 너무 빠르게 계산해서 넘겨주면 CPU가 그 속도를 따라잡지 못 하기 때문이다.)

∴ 일단 나는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이용하기 때문에 그래픽 카드도 중요한 요소이다.

3. 잡아 준 라인의 컴퓨터 스펙에 대하여 공부해보자.

1. CPU

KF는 K와 F의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제품이다. 내장 그래픽이 없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반드시 외장 그래픽을 달아줘야 한다.

그래서 위의 상품은 RTX 3060을 단 제품이다.

2. 나머지 부품들

  • 메인 보드 : B660M
  • 메모리(RAM) : 16GB
  • 저장 장치(SSD) : 500GB
  • 외장 그래픽 카드 : RTX 3060
  • CPU 쿨러
  • ATX 파워

∴ 약간 램과 그래픽이 걱정되긴 하지만, 램은 나중에 부족하면 1개 더 꽂으면 되고, 그래픽 카드도 교체하면 되니까 일단 저렇게 구매해보자. (+ 게임 좋아하는 친구가 괜찮은 가격에 괜찮은 제품이라고 하니 일단 사용해보자.)

4. 윈도우 관련 지식들

운영체제가 내장되어 있지 않아서 윈도우도 사야한다...
윈도우도 굉장히 여러(?) 종류가 있어서 거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1. FPP

USB나 시디키 포함된 패키지 형태로 받아볼 수 있고, 잃어버리지 않는다면 재사용이 가능하다.

2. ESD

메일로 코드를 받아볼 수 있다. 코드가 풀리는 경우도 간혹 있다.

3. OEM

특정 pc에 귀속된다.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는 제조사에서 대량으로 구매하여 생산하는 pc에 넣는 방식이다.

4. DSP

메인보드에 운영체제가 귀속되어있다.

∴ 1, 2번은 재사용이 가능하고, 3, 4번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FPP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
알고리즘과 데이터 과학과 웹 개발을 공부하는 대학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