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기초2 리스트

김재민·2022년 1월 21일
0
post-thumbnail

리스트는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까?

리스트를 사용하면 1, 3, 5, 7, 9 숫자 모음을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odd = [1,3,5,7,9]]

리스트명 = [요소1, 요소2, 요소3, ...]

a = []
b = [1, 2, 3]
c = ['Life', 'is', 'too', 'short']
d = [1, 2, ['Life', 'is']]

다음과 같이,
리스트 안에는 어떠한 자료형도 포함시킬 수 있음

공백 리스트는 a = list()로도 생성할 수 있음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a = [1, 2, 3]
a
[1, 2, 3]

리스트의 수정과 삭제

리스트에서 값 수정하기

a = [1, 2, 3]
>>> a[2] = 4
>>> a
[1, 2, 4]

del 함수를 이용해 리스트 요소 삭제하기

a = [1, 2, 3]
>>> del a[1]
>>> a
[1,3]

슬라이싱 기법을 이용하여 한번에 삭제

a = [1, 2, 3, 4, 5]
>>> del a[2:]
>>> a
[1, 2]

리스트 정렬

a = [1, 4, 3, 2]
>>> a.sort()
>>> a
[1, 2, 3, 4]

리스트 뒤집기(reverse)

>>> a = ['a', 'c', 'b']
>>> a.reverse()
>>> a
['b', 'c', 'a']

위치반환(index)

>>> a = [1,2,3]
>>> a.index(3)
2
>>> a.index(1)
0

in연산자

오브젝트 in 리스트

오브젝트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값인지 체크를 해줌
값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True를 반환,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False를 반환

오브젝트 not in 리스트

[not in]의 경우에는 리스트에 값이 존재하는 경우 False / 존재하지 않는 경우 True

list = ["A","B","C"]

print "B" in list 	#True
print "D" in list	#False
print "B" not in list #False
print "D" not in list #True

index 메서드

리스트.index(오브젝트)

list = ["A","B","C"]

print list.index("B")  #1

count메서드

리스트.count(오브젝트)

list = ["A", "B", "C", "B"]

print list.count("B")  #2
profile
어제의 나보다 나은 오늘의 내가 되자!🧗‍♂️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