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는 연산자[+]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연결
"문자열1" + "문자열2"
print "Python" + "Web" print u"안녕" + u"하세요" print "2019" + u"년"
문자열과 문자열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문자열이 만들어지지만, 문자열과 숫자는 연결할 수 없음
print "Year" + 2000 #TypeError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문자열과 숫자를 연결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해주는 경우가 존재하지만 직접 해줘야 함
변환하기 위해서 [str] 함수를 사용
str([object])
str(14) #"14"
print "Year" + str(2000)
문자열 길이를 취득하는 함수로 len을 사용
len(문자열)
print len("Hello")
print len(u"안녕하세요")
print len(u"안녕하세요".encode("UTF-8"))
리스트 마지막에 요소를 추가하는 방법
마지막 부분에 추가하기 위해서는 append함수를 사용
리스트.append(오브젝트)
list = ["A","B","C"] list.append("D") print list #["A","B","C","D"]
마지막 부분에 다른 리스트 요소를 추가하는 방법
추가 방법은 extend를 사용
리스트.extend(리스트)
list = ["A","B","C"] list.extend(["D","E"]) print list #["A","B","C","D","E"]
리스트 마지막에 리스트 형태로 값을 추가
결과적으로 보면 리스트와 리스트를 연결했다고 생각
리스트와 리스트를 연결할 때 주의점으로 반드시 extend를 사용해야함
append함수를 extend처럼 썼을 때는 연결이 아닌 추가가 됨
list = ["A","B","C"] list.append(["D", "E"]) print list #["A", "B", "C", ["D", "E"]]
리스트 + 리스트
+연산자를 사용하면 리스트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리스트가 변경되는 것이 아니고, 새로운 리스트가 생성됩니다.
list = ["A", "B", "C"] newlist = list + ["D", "E"] print newlist # ["A", "B", "C", "D", "E"]
배열 리스트에 원하는 위치에 값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insert메서드를 사용
리스트.insert(인덱스, 오브젝트)
list = ["A","B","C"] list.insert(1, "D") print list #["A", "D", "B", "C"]
지정 위치 요소 삭제
del 리스트[인덱스]
list = ["A", "B", "C"] del list[1] print list # ["A", "C"]
슬라이스와 같이 사용 여러 개의 요소를 한 번에 삭제
list = ["A","B","C","D"] del list[1:3] print list #["A","D"]
리스트.pop(인덱스)
pop메서드는 지정한 요소를 삭제하고 삭제한 요소를 반환
인덱스를 생략하는 경우 리스트의 마지막 값을 삭제
list = ["A","B","C","D"] list.pop(1) print list #[ list.pop() print list # ["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