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마다 특징/목적이 다르다TCP프로토콜 : TCP헤더에 tcp 신뢰성을 높히기위한 정보가 헤더에 들어있는 것UDP프로토콜: UDP는 근데 신뢰성이 높은 프로토콜이 아니기 때문에 헤더에 TCP보다 적은 정보가 들어있는 것각 계층별로 구성하면 프로토콜과 장치를 구성할
이더넷이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하나로, 전세계의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AN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규격이다유선 LAN 환경은 대부분 이더넷 기술에서 이루어짐IEEE 802.3 은 유선 이더넷 의 물리적 계층 과 데이터 링크 계층 의 미디어
라우팅: 패킷이 이동할 최적의 경로를 찾음수신지 : IP주소수신인 : MAC주소IP : internet protocol주소 지정단편화식별자 : 패킷에 할당된 번호플래그 : 세 개의 비트로 구성첫번째 비트는 사용되지 않음두번째 비트 : DF 비트1: IP 단편화 수행하지
신뢰할 수 없는 프로토콜패킷이 수신지까지 제대로 전송되었다는 보장을 하지 않음통신과정에서 패킷이 잘못 전송되어도 이를 확인하지 않고, 재전송도 하지않으며,순서대로 패킷이 도착할것이라는 보장도 하지 않는다는 의미비연결형 프로토콜 송수신 호스트 간에 사전 연결 수립 작업을
메시지를 주고받는 송수신지 파악IP주소, 도메인 네임송수신하고자 하는 정보파악통신하고자 하는 모든 호스트의 IP 주소 기억하기 어려움IP주소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음그래서 상대 호스트 특정을 위해 도메인 네임 사용도메인 네임 : 호스트의 IP 주소와 대응되는 문자열 형
식별자(Identification): 동일 패킷의 단편들은 같은 식별자 값 공유플래그(Flags): More Fragments(MF): 뒤이어 단편이 더 있음Don't Fragment(DF): 단편화 금지Fragment Offset: 단편의 상대적 위치 표시네트워크 상
시스템의 정상 작동 시간 비율계산식: (업타임) / (업타임 + 다운타임)고가용성 목표: 99.999% 이상업타임: 정상 운영 시간다운타임: 서비스 중단 시간문제 발생 시에도 기능 유지완벽한 예방보다 지속적 운영에 초점SPoF(Single Point of Fail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