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자열에서 반복적으로 나오는 문자를 반복 횟수 만큼 숫자로 묶어 압축한다.\- 문자 1 단위부터 ~ n 단위까지 압축시켜 가장 짧게 만들 수 있는 단위의 글자 수를 출력.\- 예를 들어 "aabbaccc"의 경우 1 단위 - 2a2ba3c로 압축이 가능하며 "ab
\- dir 함수를 이용하여 dict 객체의 메소드를 확인할 수 있다.'clear', 'copy', 'fromkeys', 'get', 'items', 'keys', 'pop', 'popitem', 'setdefault', 'update', 'values'와 같은 메소드
\- 리스트 안에 for문을 한줄로 작성하여 새로운 리스트를 작성이 가능하다.if 조건문을 마지막에 써준다.
\- def 키워드 없이 함수를 생성 주로 map, reduce, filter 인자 내에서 간단히 함수를 선언할 때 사용.
OP.GG에서 추출한 데이터 (랭킹 1 ~ 200위)(https://velog.io/@tkdfo93/Python-%EC%9B%B9-%ED%81%AC%EB%A1%A4%EB%A7%81Crawling-%EA%B8%B0%EB%B3%B8-BeautifulSoup-req
\- brown은 테두리 1줄.\- 가로는 세로의 길이와 같거나 세로의 길이보다 길다. 즉, 세로의 길이는 가로의 길이를 넘지 못한다.\- 가로 \* 세로 = brown + yellow\- 가로, 세로의 길이는 최소 3이상 (중심에 yellow가 무조건 들어가는 조건을
\- numbers의 숫자들은 종이 조각을 의미\- numbers의 요소가 0 ~ 9까지 -> 각 요소가 단일 숫자. 즉, 두 자리의 요소가 한 숫자가 될 수 없음\- 0이 맨 앞자리인 경우 생략\- bfs를 이용해 만들 수 있는 모든 숫자를 찾으면서 소수 검사를 한다
Python과 모듈 BeautifulSoup, requests, re을 이용하여 웹 크롤링 기본을 연습해볼 것이다. 1. 웹 페이지 선정 \- 먼저 크롤링을 진행할 적절한 웹 페이지를 선정해야한다. 이번 연습을 위해 OP.GG(롤 전적검색 사이트)의 랭킹 페이지를 선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의 필요성 \- 정규표현식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껴본 적이 없다. 많이 사용하지도 않았고 그만큼 익숙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이번에 웹 크롤링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필요성을 크게 느꼈다. 위와 같이 태그가 중첩되어 나와
파이썬으로 MongoDB에 연결해서 CRUD를 구현해볼 것이다. 시작 전 Pymongo 라이브러리(https://velog.io/@tkdfo93/MongoDB-%EC%8B%A4%EC%8A%B5-%ED%99%98%EA%B2%BD-%EB%A7%8C%EB%93%A4
MongoDB의 명령어는 MySQL보다 조금 더 간결하다. 그리고 CRUD 쿼리문에 있어서 SQL 쿼리문 처럼 길게 나열하는 것이 아닌 객체를 활용하는 메소드 형식으로 명령어가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훨씬 더 직관적으로 또 코드를 작성할 때 이질감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MAC 기준) 1. MongoDB 설치 Homebrew를 이용하여 설치할 예정이다. 기본적으로 위 처럼 먼저 시도해 볼 것인데 명령어가 안 먹힐 것이다. 그 이유는 MongoDB가 Homebrew-core에서 제거 되었다고 한다. 비공개 소스로 전환 했다는 얘긴
Document store를 사용하는 NOSQL의 한 종류이다. (참고: SQL과 NOSQL)JSON 기반의 Document 데이터Database -> Collection -> Document 구조로 구성이 된다. (Collection은 RDBMS의 Table, Doc
파이썬에선 숫자를 다른 n진수로 표현하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다.참고로 n진수로 표현된 숫자 앞에 오는 0b, 0o, 0x는 차례대로 2, 8, 16진수를 나타낸다. 접두어가 빠지면 직접 비교가 불가능하다.
코드스테이츠가 끝난 지 약 2주가 다 되어간다. 파이널 프로젝트에 활용했던 기술들을 다 정리하니 이제 정말 끝인 것 같다. 여러 가지 많이 배웠고 또 스스로 많이 익히기도 했다. 특히 페어 프로그래밍이 있다 보니 다양한 사람들을 많이 만났다. 물론 다들 대단한 분들이셨
이번 N행시의 밤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EC2로 서버를 배포하고 RDS를 사용하지 않고 EC2 내부에 MySQL을 사용하기로했다. 정석으론 RDS를 사용해서 데이터베이스의 안정성을 높이는게 좋지만 개발 단계에서 MySQL을 사용했고, 완성도가 높아지면 RDS를 사
TypeScript + Sequelize를 선택하면서 seed에 대한 기능을 잃었다. 그래서 좋은 방법을 찾다가 DBeaver의 아주 유용한 기능을 발견했다.DBeaver라는 GUI를 사용한다면 꼭 이용해보길 권장한다. 너무너무 편하고 좋은 기능이다.우선 지금 쓰고있는
.png) 프로그래밍에 대한 공부를 하다보면 인터넷 상에 입력하는 내 개인정보에 대한 불안감이 점점 더 커진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보안에 대해서 굉장히 큰 경각심을 가지고, 또 그에 부응하는 많은 보안 프로그램들이 나온다. 여러가지 알고리즘을 생각하는 보안 업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