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 기본강의 2회 정주행
1회강은 빠른속도로 내용 살피는 용도로 하였으면 2회강은 하나하나 구현해보면서 시작했다.
그덕에 시간은 배로 걸렸지만 이해도는 조금 더 높아짐을 느껴버렸다.
리액트를 사용하면 SPA가 되는데
싱글 페이지 어플리케이션
한 화면속 데이터를 자주 바꾸게 되면 그외에 필요없는 부분까지 매번 서버에 요청하게 된다 그런 상황에서 장점인 SPA
서버 요청하면 전체 화면을 가져와서 수정되는 부분만 수정시켜준다.
이점이 단점으로 적용 될수 있다는데
한번에 전체 화면 정보를 받아오게 되면 그또한 부담이라고 한다.
디테일은 모르겠지만..
컴포넌트는 클래스형과 함수형이 있는데 리액트 공식에서 함수형만 사용할것을 권장? 했다고 한다.
클래스형보다 더 간결한게 눈에 띄는데 앞으로 클래스형은 안쓰는지 궁금하다.
생성수정삭제 ..
Ref는 특정 요소를 찾아낼때 사용하는것으로 이해했다.
리액트는 진짜 돔과 가상 돔에 비교해서 바뀐점을 올려준다고 했는데
Element~~를 사용하면 진짜 돔에는 내용이 없어 오류가 발생한다고 한다.
그래서 REF를 사용해서 가상 돔속 요소를 찾아 동작실행은 한다.
State : 본인 데이터
Props : 부모가 준 데이터
state 관리는 단방향으로 관리한다고 한다.
양방향으로하면 무한루프에 걸릴수 있다고 하며 안걸리게하는방법이 있으나 비효율적인거 같다.
부모데이터 > 자식에게
자식데이터 > 부모 리랜더링 뭐 .. 이런느낌이었는데 내일 다시 봐야겠다.
리액트 훅 사용도 배웠는데 이부분은 버전 이슈로 사실 이해가 되는건 아니지만 사용하는방법은 익히게 됐다.
일요일에는 디테일하게 정리한번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