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fs와 bfs를 구현하는 여러가지 방법 in python

cyr·2022년 2월 2일
15

dfs와 bfs

dfs와 bfs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인접행렬과 인접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고, dfs에서는 스택자료구조르 만들어 사용하는 것과 재귀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현하는 방식으로도 나뉠 수 있습니다. 그래프 탐색을 처음 공부할 때, 내가 모르는 형태의 구현방법으로 적힌 다른 사람들의 풀이를 보고 어려움을 느낀 점이 많아 포스팅으로 남겨봅니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방법을 직접 구현해보고,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이 글을 작성하기 위해서 백준 1260 dfs와 bfs 문제를 활용하겠습니다.

인접리스트와 인접행렬

인접리스트와 인접행렬은 그래프를 코드 상에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아래의 그림으로 나타내어지는 그래프를 살펴보겠습니다.

인접행렬

이 그래프를 인접 행렬로 나타낸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graph = [[0, 1, 1, 1],
		 [1, 0, 0, 1],
         [1, 0, 0, 1],
         [1, 1, 1, 0]]
  • 인접행렬의 각 행과 열은 노드를 의미합니다.
  • 즉 0번째 노드와 1번째 노드가 연결되었다면, 0행 1열에 1을 입력하고, 입력되지 않았다면 0을 입력하는 것입니다.
  • 무향 그래프일 경우 대각선 대칭이지만, 유향그래프일 경우에는 대각선 대칭이 아닙니다.
  • 가중치 그래프의 경우에는 1이 아닌 다른 값을 넣음으로써 가중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인접리스트

graph = [
    [1, 2, 3],
    [0, 3],
    [0, 3],
    [0, 1, 2]
]
  • 인접리스트는 각각의 인덱스에 헤당하는 노드에 연결된 노드들을 리스트형태로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 노드를 문자열로 나타내었을 때 Dictionary를 활용할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 가중치 그래프에서 가중치를 표현하기 위해서 연결정보에 튜플형태나 다른 방식으로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비교

  • 모든 연결정보를 찾아야 하는 경우
    - 인접행렬은 각 행에 연결된 노드가 무엇인지 찾기 위해서 모든 노드가 연결되어 있는지 직접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복잡도가 높습니다.
    - 인접리스트는 해당 노드에 입력된 리스트 전체를 가져오면 되기 때문에 시간복잡도가 낮습니다. 즉, 이 경우에는 인접리스트가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 특정 노드 간의 연결정보를 찾아야 하는 경우
    - 인접행렬은 graph[i][j]를 통해 i노드와 j노드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반면에 인접리스트는 graph[i]에서 j가 있는지 한번 순회하여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인접행렬을 사용한 경우보다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dfs와 bfs 문제(백준 1260)

dfs와 bfs를 구현하고 경로를 출력하는 문제입니다.

dfs 구현하기

dfs를 아래의 4가지 방법으로 구현해보겠습니다.

  • 인접행렬, stack 자료구조
  • 인접행렬, 재귀함수
  • 인접리스트, stack 자료구조
  • 인접리스트, 재귀함수

인접행렬, stack 자료구조

  • 먼저 인접행렬을 만들었습니다.
  • visited를 만들어 각 노드에 방문한 적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했습니다.
  • 노드의 인덱스가 1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인접행렬 matrix와 visited의 크기를 각각 1 추가해서 만들었습니다.
n, m, v = map(int, input().split())
matrix = [[0] * (n+1) for _ in range(n+1)]
visited = [False] * (n+1)

for _ in range(m):
  f, t = map(int, input().split())
  matrix[f][t] = matrix[t][f] = 1

def dfs(matrix, i, visited):
  stack=[i]
  while stack:
    value = stack.pop()
    if not visited[value]:
      print(value, end=' ')
      visited[value] = True
    for c in range(len(matrix[value])-1, -1, -1):
    # 문제에서 작은 숫자부터 입력하기를 요구해서 반대로 순회했습니다.
    # 순차적으로 하면 스택에 2,3,4 순으로 입력되고 4부터 pop되어
    # 가장 큰 수인 4부터 pop되기 때문입니다.
      if matrix[value][c] == 1 and not visited[c]:
        stack.append(c)

dfs(matrix, v, visited)

인접행렬, 재귀함수

  • 재귀함수를 사용하면 앞선 프로세스가 스택으로 쌓이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stack을 직접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 코드가 간결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 m, v = map(int, input().split())
matrix = [[0] * (n+1) for _ in range(n+1)]
visited = [False] * (n+1)

for _ in range(m):
  f, t = map(int, input().split())
  matrix[f][t] = matrix[t][f] = 1

def dfs(matrix, i, visited):
  visited[i] = True
  print(i, end=' ')
  for c in range(len(matrix[i])):
    if matrix[i][c] == 1 and not visited[c]:
      dfs(matrix, c, visited)
dfs(matrix, v, visited)

인접리스트, stack 자료구조

  • 인접리스트를 이중 list로 구현했습니다.
  • 인접행렬과 마찬가지로 n+1개의 노드를 만들었습니다.
  • 인접행렬에서 모든 행을 반복문으로 확인하여 연결정보를 얻은 것과는 달리, graph[value] 한번 만으로 모든 연결 정보를 가져왔습니다.
n, m, v = map(int, input().split())
graph = [[]] * (n+1)
visited = [False] * (n+1)

for _ in range(m):
  f, t = map(int, input().split())
  if graph[f] == []:
    graph[f] = [t]
  else:
    graph[f].append(t)
  if graph[t] == []:
    graph[t] = [f]
  else:
    graph[t].append(f)

def dfs_stack(graph, i, visited):
  stack = [i]
  visited[i] == True
  while stack:
    value = stack.pop()
    if not visited[value]:
      print(value, end=' ')
      visited[value] = True
    for j in graph[value]:
      if not visited[j]:
        stack.append(j)

for i in graph: # 앞서 인접행렬에서 거꾸로 순회했던 이유가 같습니다.
	i.reverse()
  
dfs(graph, v, visited)

인접리스트 재귀함수

n, m, v = map(int, input().split())
graph = [[]] * (n+1)
visited = [False] * (n+1)

for _ in range(m):
  f, t = map(int, input().split())
  if graph[f] == []:
    graph[f] = [t]
  else:
    graph[f].append(t)
  if graph[t] == []:
    graph[t] = [f]
  else:
    graph[t].append(f)

def dfs(graph, i, visited):
  visited[i] = True
  print(i, end=' ')
  for j in graph[i]:
    if not visited[j]:
      dfs(graph, j, visited)

dfs(graph, v, visited)

bfs 구현하기

bfs를 아래의 2가지 방법으로 구현해보겠습니다.

  • 인접행렬, queue 자료구조
  • 인접리스트, queue 자료구조

인접행렬, queue 자료구조

n, m, v = map(int, input().split())
matrix = [[0] * (n+1) for _ in range(n+1)]
visited = [False] * (n+1)

for _ in range(m):
  f, t = map(int, input().split())
  matrix[f][t] = matrix[t][f] = 1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bfs(matrix, i, visited):
  queue= deque()
  queue.append(i)
  while queue:
    value = queue.popleft()
    if not visited[value]:
      print(value, end=' ')
      visited[value] = True
      for c in range(len(matrix[value])):
        if matrix[value][c] == 1 and not visited[c]:
          queue.append(c)

인접리스트, queue 자료구조

n, m, v = map(int, input().split())
graph = [[]] * (n+1)
visited = [False] * (n+1)

for _ in range(m):
  f, t = map(int, input().split())
  if graph[f] == []:
    graph[f] = [t]
  else:
    graph[f].append(t)
  if graph[t] == []:
    graph[t] = [f]
  else:
    graph[t].append(f)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bfs(graph, i, visited):
  queue= deque()
  queue.append(i)
  while queue:
    value = queue.popleft()

    if not visited[value]:
      print(value, end=' ')
      visited[value] = True
      for j in graph[value]:
        queue.append(j)

bfs(graph, v, visited)

다음포스팅

  • 좌표평면 or 좌표공간에서 dfs, bfs 구현하기( ex)백준 토마토 )
profile
개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