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 부분집합 구하기

cyr·2022년 1월 4일
6

백준이나 프로그래머스에서 문제를 풀다보면 부분집합을 구했을때 굉장히 쉽게 풀 수 있는 문제들이 있습니다. 매번 itertools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해결했었는데 그마저도 기억이 안나서 구글링해서 해결한 적이 많죠.. 오늘은 이런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내용도 제대로 숙지할 겸, 제 블로그에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코드를 보여주고 해당코드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부분집합

파이썬에서 부분집합을 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방법 4가지를 소개하고 구현해보겠습니다.

  • itertools 라이브러리의 combinations 메서드 사용하기
  • 단순 반복문과 배열
  • 재귀
  • 비트연산

1. itertools 라이브러리의 combinations 메서드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arr = [1, 2, 3]
result = []
for i in range(len(arr)+1):
  result = result+list(combinations(arr,i))  

print(result)
# [(), (1,), (2,), (3,), (1, 2), (1, 3), (2, 3), (1, 2, 3)]

가장 직관적으로 이해되는 방법이어서 평소에 가장 많이 사용해왔던 방법입니다. itertools라는 라이브러리에 있는 combinations를 사용한 방법입니다. combinations의 사용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arr = [1,2,3]

print(list(combinations(arr,1)))
#[(1,), (2,), (3,)]

print(list(combinations(arr,2)))
#[(1, 2), (1, 3), (2, 3)]
  • combinations 메서드의 첫번째 인자로 대상 리스트를 넣고,

  • 두번째 인자로는 부분집합의 길이를 넣는다.
    => 해당 길이를 가지는 부분집합

  • 메서드에서 나왔을 때는 combinations 객체라는 형태로 있기 때문에 list 메서드로 형변환을 해주어야만 리스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공집합을 포함한 모든 부분집합을 구하려면 두번째로 들어갈 인자의 값을 배열의 길이를 모두 커버할때까지 1씩 더하면서 result 배열에 더해주면 됩니다!

시간복잡도 : O(n * nCr)

  • combinations의 r(두번째 매개변수)의 값에 따라 탐색해야할 길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nCr이라고 했습니다.

2. 단순 반복문과 배열

arr = [1, 2, 3]
subsets = [[]]

for num in arr:
  size = len(subsets)
  for y in range(size):
    subsets.append(subsets[y]+[num])
print(subsets)
  • 처음에 공집합을 결과 부분집합에 넣어준다.
  • 현재까지의 모든 부분집합에 첫번째 원소를 포함한 값을 추가한 배열을 부분집합에 추가한다.
  • 현재까지의 모든 부분집합에 두번째 원소를 포함한 값을 추가한 배열을 부분집합에 추가한다.
  • 현재까지의 모든 부분집합에 세번째 원소를 포함한 값을 추가한 배열을 부분집합에 추가한다.
  • 모든원소에 대해 이 과정을 반복하면 전체부분집합이 완성된다.
  • 이 부분이 말로는 이해하기 힘들 수 있으니 그림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시간복잡도 : O(N * 2^N)


3. 재귀

import copy
result = []
def recur(subset, i, arr):	      
  if i == len(arr): 		     # 재귀함수의 탈출조건
    result.append(copy.copy(subset)) # 결과에 들어가는 모든 원소에 해당하는 부분집합의 레퍼런스가 
    return			     # subset으로 같기 때문에 subset을 카피하여 넣어줘야 한다.
				     # 이렇게 하지 않으면 result에 들어가는 모든 부분집합이 공집합으로 나온다.
  else:
    subset.append(arr[i])
    i += 1
    recur(subset, i, arr) 	     # i번째 원소가 '있을' 때의 경우에서 분화
    subset.pop()					
    recur(subset, i, arr)	     # i번째 원소가 '없을' 때의 경우에서 분화
    
recur([], 0, arr)
print(result)
  • 일반적으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할 때는 반복문을 사용하지만, 한 가지 경우의 수에서 두 가지 이상의 상황으로 분화될 경우에는 재귀함수를 통해 탐색해야 합니다.

  • 위의 그림과 같이 원소가 있는 지 각각의 인덱스의 원소가 있을 때와 없을 때의 조합을 모두 합한 것이 부분집합이 됩니다.

시간복잡도 : O(N * 2^N)


4. 비트연산

arr = [1,2,3] 
result = []
for i in range(1<<len(arr)): 
  subset = []
  for j in range(len(arr)): 
    if i & (1<<j): 
      subset.append(arr[j]) 
  result.append(subset)
print(result)
  • 코드의 내용은 많이 다르지만 재귀함수를 통해 부분집합을 구하는 것과 완전히 같은 원리입니다.
  • len(arr) => 3 이고,
  • 1<<3 은 이진수 1000이 됩니다. (십진수 8)
  • 첫 번째 반복문에서 각 비트 세가지가 가질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사용합니다.
  • 여기서 j는 각원소의 위치를 뜻합니다.

    000, 001, 010, 011, 100, 101, 110, 111

000001010011100101110111
001001001001001001001001
010010010010010010010010
100100100100100100100100
[][1][2][1,2][3][1,3][2,3][1,2,3]
  • i & (1<<j) 은 하나라도 일치하면 0이 아니기 때문에 if 문에서 True 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시간복잡도 : O(N * 2^N)


결론

  • 대상이 되는 배열의 크기를 20개로 했을 때의 결과가 아래와 같습니다.

    itertools : 0.6088559627532959
    단순 반복문 : 1.1612977981567383
    재귀함수 : 1.6987059116363525
    비트연산 : 5.907625913619995

  • itertools가 시간복잡도가 가장 낮았기 때문에 가장 짧은 시간이 결렸고, 나머지는 시간복잡도는 같지만 모두 다른 값이 나왔습니다.
  • 비트연산이 유독 높은 이유는 빅오 표기법에 따르면 itertools를 제외한 나머지의 시간복잡도가 같지만,
  • 비트연산이 실제로는 지수가 하나 더 높기 때문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 시간복잡도가 굉장히 높기때문에 코딩테스트에서 배열의 길이가 너무 길어질 경우에는 부분집합을 구하지 않고 푸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profile
개발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11월 18일

잘 읽었어요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