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은 배포받은 자료를 사용함.


VC_redist.x64.exe 실행해서 설치

Windows (x86, 64-bit), ZIP Archive 클릭
8.0.20.zip

C:\ 로 폴더 이동
data 폴더 직접 생성

my.ini 로 변경
my.ini - 편집 선택[mysqld]
basedir=MYSQL이 설치된 위치
datadir=MYSQL이 설치된 위치\data
port=3306
[mysqld]
basedir=C:\mysql-8.0.20-winx64
datadir=C:\mysql-8.0.20-winx64\data
port=3306

my.ini 파일에 입력하고 저장

간략하게 나온다면 자세히 선택
프로세스에 mysqld이 있는지 확인하고 설치
있으면 삭제하고 설치
선점검 하는 이유 : 충돌이 나면 안되기 때문이다.
변수이름 : MYSQL_HOME
변수 값 : 압축해제한 폴더

변수이름 : MYSQL_HOME
변수 값 : C:\mysql-8.0.20-winx64

%MYSQL_HOME%\bin 말고 bin 폴더의 경로의 전체를 입력 : C:\mysql-8.0.20-winx64\bin
설정 완료 후 나머지 창들도 확인 버튼을 눌러 모두 닫는다.

win+R + cmd
cmd 오픈할 때 Ctrl+Shift+Enter
: 관리자 권한 으로 실행

$ mysqld --initialize

data 폴더 안에 초기화 결과물이 생성data 폴더안에 파일이 없거나 일부만 있다면 삭제하고 지금까지 했던 과정 다시 수행win+R + cmd + Ctrl+Shift+Enter
$ mysqld --install

$ net start MySQL

data 폴더 안에 컴퓨터 이름.err 파일 메모장으로 확인
win+R - cmd$ mysql -uroot -p
-u : user의 이름을 입력하기 위한 옵션. 여기서는 user 이름은 root임-p : password를 입력하기 위한 옵션. 직접 입력하지 않고 별도의 입력 항목을 입력
Enter password : 이전 .err에서 확인한 임시 비밀번호 입력한다.
MySQL 접속 성공
$ alter user 'root'@'localhost' identified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사용할비밀번호';
절.대. 잊어먹지 않도록한다.
exit을 입력하여 mysql 접속을 해제$ mysql -uroot -p

exit으로 실행 종료한다.
배포된 myschool-dump.sql 파일이 위치 확인 (사용자에 따라 다르다)
경로 : D:\jinju\06_DATABASE\mysql_file
cmd (일반 사용자 권한) 실행

$ cd /d 이동할디렉토리경로
cd : 디렉터리 변경(change directory)의 준말
$ cd /d D:\jinju\06_DATABASE\mysql_file
myschool-dump.sql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mysql -uroot -p < 데이터파일 이름
$ mysql -uroot -p < myschool-dump.sql
mysql에 database를 import한다.
$ SHOW DATABASES;
database 안에 myschool이 정상적으로 있는 것을 확인
$ mysql -uroot -p
Enter password 입력
$ USE myschool;
$ SELECT * FROM department;
USE 테이블 : 사용할 DATABASE 선택SELECT ~ FROM 테이블 : 테이블에서 컬럼 조회하기* : ALL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