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강의에서 비,눈 등 내리는 이펙트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내릴때 중력을 준것처럼 자연스럽게 하려면 * 1.03을 해 주었는데, 0.99를 곱하게 된다면 0이 되면서 서서히 멈추게 되는 이모션도 만들 수 있다.
간단한 버튼 테스트부터 진행해보려 한다.컴포넌트가 정상적으로 생성된다.button 이라고 쓰여있는 엘리먼트는 HTMLButtonElement이다.버튼을 클릭하면, p 태그 안에 "버튼이 방금 눌렸다"라고 쓰여진다.버튼을 클릭하기 전에는 p태그 안에 "버튼이 눌리지 않았
위처럼 gooey 이펙트를 줄 때 blur 등 값을 얼마나 줘야 하는지 바로바로 테스트 해보고 싶을때는 dat.GUI를 이용하면 된다.https://cdnjs.com/libraries/dat-gui이곳에서 script를 복사해 넣어주면 끝!js파일에서 새로운
위 사진처럼 대각선 맨아래에 대비가 더해지는 구간이 있는데 도형들이 떨어지면서 겹치는 부분을 끈적한 이펙트로 만들고 싶을때 정말 간단하다 이렇게 대비값을 주게되면 blur의 흐릿한 부분들이 겹쳐지게 되면서 끈적이는것처럼 보일수 있다 css filter의 단점은 뒤
proto 와 prototype 의 차이 proto 1.모든 객체가 가지고 있다. 2.하나의 Link 라고 할 수 있다. prototype 1.함수 객체만 가지고 있다. 2.생성자를 가지는 원형으로 선언 할 수 있다. JS에서는 내부 슬롯과 내부 메서드에 직접적으
해당 챕터를 담당하게 됐으므로 작성한다....그래도 개발 공부를 처음 시작할때 짚고 넘어간 부분이라 편하다 깔깔이 책의 초반에도 나와 있듯이 변수를 선언하고 사용하게 되지만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때는 가비지 컬렉터가 메모리에서 이 변수를 삭제 한다고 했다.이처럼 사용하
10장 [객체 리터럴] >객체 리터럴은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표기법이며, 중괄호 내에 0개 이상의 프로퍼티를 정의한다. let obj = {} 객체타입은 (원시값, 다른 객체)를 포함하는 복합적인 자료구조이다. 원시탑은 한가지의 타입만 가지지만 객체는 여러가지를 포
값의 타입은 다른 타입으로 개발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자동 변환될 수 있다. 개발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명시적 타입 변환(Explicit coercion) 또는 타입 캐스팅(Type castin
HTTP는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HTML, CSS, JS, Image와 같은 파일들을 서로 주고받으려면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알아볼 수 있는 약속된 메세지가 필요한데, 그 메세지를 HTTP 라 하고, HTTP는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수학적 계산을 수행해 새로운 숫자 값을 만든다.산술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NaN을 반환한다.또한 피연산자의 개수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이항 산술 연산자단항 산술 연산자이항 산술 연산자2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든다.
메모리는 컴퓨터에서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공간입니다.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변수들을 저장할 메모리도 필요한데,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다양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메모리 구조에는 코드 영역,데이터 영역, 힙영역, 스택영역이 각자의 공간을 확보하
도태되지 않기 위해 주말 스터디를 구하던 중 모르는사람들과 할 때 기가 빨리는 편이고, 이것저것 신경쓸게 많아서 원래 같이 공부하던 친구들과 (뛰어난 실력의 보유자들) 스터디를 하고자 했다. 협업툴 : 노션, Slack 주제: 모던 자바스크립트 딥 다이브 중심으로 한
파티클 그리기 > 💡이번에는 사각형이 아닌 arc를 이용해서 원을 그려볼까 합니다. canvas에서의 arc란 중심을 기준으로 반지름만큼 떨어져 원하는 각도만큼 홀을 그리는 그리는 메서드인데 원을 그릴때는 사각형과는 다르게 이 방식을 사용합니다. arc 시작하는
패스트캠퍼스에 어떤 강의를 더 봐볼까 하다가 발견한Three.js & canvas 였습니다.3D라는게 매력적이었고 강의가 많지 않다는 점, 카카오에도 적용을하고 전망이 높다는점을 보고 강의를 바로 질렀어요,,,2/1 이후로는 비싸진다고 해서요 ㅋㅋㅋㅋconsole로 찍
Client Side Rendering의 약자 말그대로 요청이 클라이언트 즉, 프론트에서 일어난다.User가 Website 요청을 보냄.CDN이 HTML 파일과 JS로 접근할 수 있는 링크를 클라이언트로 보낸다.CDN : aws의 cloudflare를 생각하면 됨. 엔
createStore는 리덕스의 store을 만드는 함수이다💡 store는 데이터저장소라고 생각하면 되고 props drilling을 하지않고 꺼내쓰는 전역 데이터관리저장소!store.getState()는 현재 스토어의 state를 가져오는 함수getState로 c
action은 그냥 함수입니다.action의 값은 달라졌는지, 안달라졌는지 둘중 하나의 결과를 만들어줍니다.Pure Function으로 시간에 따라 값이 바뀌는 데이터는 넣으면 안된다고 하네요!리덕스가 값을 인지하는 방식은 Immutable리액트일 때 \[state,s
알고리즘 영역에서 너무 약하다보니 Lv.0부터 다시 차근차근 풀고 있는데 도움이 정말 많이 되는것 같다!!짝수의합을 풀면서 가장 먼저 생각이 든건 아 for문으로 풀어야지 근데 이거 reduce 함수로도 될것 같은데 했지만 reduce 함수는 자주 쓰던 함수가 아니기
웹디자인 초창기에는 페이지를 구축할 때 매우 구체적인 화면 크기를 공략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사용자는 웹디자이너가 예상한 것보다 크거나 작은 화면의 기기를 가지고 있다면 원하지 않는 스크롤 막대에서부터 지나치게 긴 길이의 라인, 사용 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결과를 낳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