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sion
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연결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말한다.
쇼핑몰 웹 사이트를 예를 들어, 로그인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그 후 인증된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이용하고 로그아웃까지 하는 예제를 살펴본다.
2번은 인증에 따라 리소스의 접근 권한(Authorization)
이 달라진다.
서버와 클라이언트에게 각각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 서버: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했음을 알고 있어야 한다.
- 클라이언트: 인증 성공을 증명할 수단을 갖고 있어야 한다.
이때 웹 사이트에서 로그인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쿠키를 사용한다. 쿠키에는 서버에서 발급한 세션 아이디를 저장한다.
만약, 쿠키에 세션 아이디 정보가 없을 경우, 서버는 해당 요청이 인증되지 않았음을 알려준다.
세션 아이디가 담긴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저장되어 있으며, 서버는 세션을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서버는 그저 세션 아이디로만 인증 여부를 판단한다.
로그아웃은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해야한다.
- 서버: 세션 정보를 삭제해야 한다.
- 클라이언트: 쿠키를 갱신하거나 삭제해야 한다.
클라이언트에서 세션정보를 없애기 위해서는 res.cookie
로 쿠키의 값을 무효한 값으로 갱신하거나, res.clearCookie
로 쿠키를 삭제해버리면 된다.
*주의: 쿠키는 세션 아이디, 즉 인증 성공에 대한 증명을 갖고 있으므로, 탈취될 경우 서버는 해당 요청이 인증된 사용자의 요청이라고 판단한다. (공공 PC에서 로그아웃을 꼭 해야하는 이유)
express-session
는 Node.js에는 이런 세션을 대신 관리해 주는 모듈로 세션을 위한 미들웨어다.express
서버에서 쉽게 섹션을 위한 공간을 다룰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session = require('express-session');
const app = express();
app.use(
session({
secret: '@codestates',
resave: false,
saveUninitialized: true,
cookie: {
domain: 'localhost',
path: '/',
maxAge: 24 * 6 * 60 * 10000,
sameSite: 'none',
httpOnly: false,
secure: true,
},
})
);
express-session
를 사용해 위와 같이 세션의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쿠키 옵션과 비슷해보이지만, 다른점은 secret
옵션의 비밀키를 사용하여 암호화해 세션 id를 생성한다.
생성한 세션 id를 클라이언트에게 쿠키로 전송하고, 전송된 세션 id는 이에 종속되는 고유한 세션 객체를 가지며, 이는 서버에 저장된다.
- 세션 객체는 유저별로 독립적으로 생성된 객체이므로 유저별로 각각 다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 따라서 클라이언트에 유저의 개인정보를 담지않고도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세션 id를 이용해 유저의 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세션 객체는 req.session
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세션이 임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불러올 수 있다.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