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서비스는 사용자가 겪은 보이스피싱, 악성 앱, 개인정보 유출 등 사이버 위협 상황을 텍스트로 입력하면, 파인튜닝된 sLLM이 응답을 생성하고, GPT-4o-mini가 그 연관성과 정확성을 판단합니다.
정확도가 낮거나 연관성이 떨어질 경우에는 RAG를 통해 내부 문서 검색을 수행하고, 그래도 부족하다면 Tavily API를 통한 웹 검색으로 최신 정보를 보완하는 다중단계 보안 Q\&A 시스템입니다.
전체 흐름은 Django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HTML/CSS 및 Django 템플릿을 활용해 사용자에게 웹페이지 형태로 서비스됩니다.
🎣 보이스피싱과 전자금융 사기 증가
→ 누구나 피해 대상이 될 수 있으나 정보 부족으로 대응이 어려움
🧑💻 사이버 위협 수법의 다양화 및 고도화
→ 사용자는 어떤 상황이 위험한지 인식하기 어려움
🛡️ 공공기관의 경고 자료는 활용도 낮음
→ 정보는 있으나 일반인이 이해하거나 검색하기 어려운 구조
📌 이 챗봇은 최신 보안 경고 문서, 공식 가이드라인 등을 다단계로 검색 및 판단하여 실시간 대응 전략을 제공하는 국민 사이버 보안 도우미를 지향한다.
➡️ ‘대응 방법 확인하기’ 버튼 클릭
1. 사용자 입력을 sLLM이 우선 처리 → 응답 A 생성
2. GPT-4o-mini가 응답 A의 신뢰도 및 연관성 판단
3. 부정확한 경우 → RAG로 내부 보안 문서 검색 → 응답 B 생성
4. 다시 GPT-4o-mini가 응답 B 판단
5. 여전히 불충분한 경우 → Tavily API를 통한 웹 검색 → 최종 응답 C 생성
6. 사용자에게 가장 정확한 응답을 제공
→ 챗봇은 입력을 토대로 다단계로 판단·검색하여 정확도 높은 보안 조치 안내를 수행한다.
📌 모두 신뢰 가능한 공식 문서 및 뉴스 공지 기반, 최신 업데이트 주기적 반영 가능
🎯 케이스 유형 | 설명 |
---|---|
📩 피싱 이메일 수신 | 정부기관 사칭 이메일 수신 시 대응법 안내 |
📱 악성 앱 의심 설치 | 설치 후 증상에 따른 조치 안내 |
☎️ 보이스피싱 전화 수신 | 번호 차단, 계좌 지급정지, 신고 절차 안내 |
🔓 개인정보 유출 | 유출 경로 추정 및 대응 전략 제공 |
기능 | 설명 |
---|---|
🔁 연속 대화 지원 | 후속 질문 흐름 처리 (예: “그다음엔요?”) |
🔔 실시간 경고 푸시 | 최신 보안 경고 자동 수신 및 알림 |
🧾 신고서 자동 생성 | 간단한 양식 생성 및 메일 전송 기능 |
1. 사용자 입력 (사이버 위협 상황 설명)
↓
2. 키워드 추출 → 벡터 검색 (FAISS)
↓
3. 관련 기관 자료 요약 제공 (Tavily 연동 포함)
↓
4. LLM이 맥락 이해 후 대응 절차 생성
↓
5. 사용자에게 요약 안내 + 참고 링크 제공
[사용자 입력 (위협 상황 설명)]
↓
[프론트엔드 → 백엔드 요청]
↓
[응답 생성]
├─ 결과 A: Fine-tuned LLM
└─ 결과 B: RAG (보안 문서 검색 + LLM 요약)
↓
[GPT-4o-mini가 A/B 비교 또는 보완]
↓
[최종 응답 출력 + 링크 제공]
↓
[사용자 후속 질문 대응 / 이력 저장]
📌 사용자는 위협 상황에서도 실시간 대응 지침을 명확하고 쉽게 전달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