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yNumber[3];myNumber[3] = 200;let myNumber = [[10, 12], [14, 20], [45, 30]];
myNumber = [1] // [14, 20]
myNumber = [1][0] // 73
// 대괄호를 중첩으로 사용해 배열 속 배열의 인덱스 조회가 가능함.(추가 중첩 및 조회도 가능)
let myNumber = [73, 98, 86, 62];
myNumber.length; // 4 myNumber 배열의 길이를 출력
myNumber.push(96); // 맨 뒤에 괄호 안 요소 추가
console.log(myNumber); // [73, 98, 86, 62, 96]
myNumber.pop(); // 마지막 요소를 삭제
console.log(myNumber); // [73, 98, 86, 62]
typeof를 쓰면 배열이 할당된 변수, obj, [1, 2, 3] 모두 "object"라고 출력하기 때문에 구분이 어려움.
이때, 사용하는 것이 Array.isArray() 메소드이며, 불린값을 출력한다. 자바스크립트의 특정 값이 배열인지 아닌지 판별이 가능하다.
console.table(array) : Console창에서 배열을 시각화하여 보여준다.array.push('thing')array.pop()array.unshift('blah')array.shift()let words = ['City', 'the', 'Blue'];
words.indexOf('the') // 1 : 배열이 포함되어 있다면 몇번째 인덱스인지 출력한다.
words.indexOf('Blue') !== -1 // true : Boolean 값으로 확인 가능
// 배열에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함수를 만들어 본다면?
function hasElement(arr. element){
arr.indexOf(element) !== -1;
}
// 위와 같은 역할을 하는 내장함수
words.includes('the') // true
includes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호환이 안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고, 존재 여부만 확인할 수 있다.
indexOf는 모든 브라우저와 호환이 되기 때문에 범용성이 더 넓고 인덱스 정보까지 얻어낼 수 있기 때문에 includes보단 indexOf가 더 많이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