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타임이란? 프로그래밍 언어가 구동되는 환경. 어떤 프로그램이 동작할 때,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곳.
ex) 크롬, 사파리 같은 웹 브라우저가 대표적인 JavaScript 런타임
이전에는 JavaScript 런타임이 웹 브라우저 밖에 없었으나, node.js라는 새로운 JavaScript 런타임이 등장하여 브라우저가 아닌 곳에서도 실행할 수 있게 해주어 웹 페이지 뿐만 아니라 서버와 같은 다른 프로그램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node.js 런타임의 등장으로 JavaScript 코드를 브라우저와 node.js 환경 모두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HTMl <script>
태그 내에 JavaScript 코드를 작성하면, 이 코드는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한다. CLI 환경에서 node <file_name>
명령어를 프롬프트에 입력하면 작성한 코드가 node.js라는 런타임에서 실행된다.
런타임이란 프로그래밍 언어가 실행되는 환경, 그리고 node.js는 JavaScript 런타임이다.
nvm이란? 패키지 매니저처럼 node.js의 다양한 버전을 관리하는 프로그램. nvm을 사용하면 node.js의 다양한 버전을 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윈도우 환경에서는 사용 불가)
// 설치 명령어
wget -q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37.2/install.sh | bash
// 설치 확인하는 방법
nvm --version
// "Command 'wget' not found" 에러 출력시, Package Manager로 wget 설치 후 진행
// Ubuntu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wget
// node.js 설치 명령어 (--lts 가 아닌 원하는 node 버전을 적어줘도 됨)
nvm install --lts
// 설치 확인
node -v
// 현재 nvm을 통해 설치한 node version 목록 확인
nvm ls
// 버전 변경
nvm use 버전넘버 // ex) nvm use 12.18.3 등 원하는 버전 작성
nvm은 다양한 node version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save-dev
옵션과 함께 install 실행시 자동으로 devDependencies에 추가된다.// 명령어 예시
npm install mocha --save-dev
npm install
명령 시 package.json에 있는 dependency(의존성 모듈)를 바탕으로 설치된다.--save
옵션과 함께 설치하면, 자동으로 dependencies에 추가된다. (생략 가능)// 모듈 설치 및 dependencies에 추가
npm install --save react
// 생략 가능
npm install react
npm run <스크립트 이름>
으로 실행한다.npm install
명령어 입력시, package.json에서 필요한 모듈(dependency)의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하는 모듈을 알아서 다운받음.npm install
을 실행해주어야 한다.// 설치 명령어
npm install
npm run start
로 파일을 실행해보았다.npm install
하여 모듈이 자동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