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 config --global user.name "깃헙 닉네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깃헙 이메일 주소"
--global
옵션으로 설정하면 한번만 설정하면 되고, 사용자 홈에 저장된다.--global
옵션 빼고 실행하면 된다.Git에서 커밋 메세지 기록할 때, 특히 merge commit 확인 메세지가 나올때 텍스트 에디터가 열린다.
기본값은 vi 텍스트 에디터이고 원하는 텍스트 에디터로 변경할 수 있다.
$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nano
$ git config --list
--list
옵션 대신 "key"로 특정 key에 대해 어떤 값을 사용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 예시
$ git config user.name
git --help
와 같이 --help
명령어를 지원하는 경우 사용가능한 명령어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를 사용하면 된다.$ mkdir 무제\ 폴더 ==> "무제 폴더" 폴더 생성
$ mkdir 무제 폴더 ==> "무제", "폴더" 폴더 생성 (한번에 폴더를 여러개 생성할 수 있다)
pwd
, mkdir
, ls
, nautilus
, cd
, touch
, cat
, rm
, mv
, cp
, sudo
, whoami
, nano
/
)와 홈 디렉토리(~
)를 이용해 경로를 이동해보았다.^
은 Ctrl 키를 의미하며 수정 후 Ctrl+X 명령시 수정여부를 물어보기 때문에 저장 및 종료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