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선언
let a;
데이터 할당
a = 12;
선언과 할당을 동시에 하는 방법
let name = 'Choi';
프로그래밍 세계에서 변수는 이름(Lable)이 붙은 값이다.
할당이 없는 변수는 let myname; → undefined(정의되지 않은) 값을 가지게 된다.
※ undefined와 함수도 하나의 타입이다.
논리적인 일련의 작업을 하는 하나의 단위를 함수라고 한다.
[ How to Use ]
1. 버튼 제작 = 선언(declaration)
function cal(param1, param2);{
console.log(param1 + param2);
return param1 * 10;
}
cal(10, 20);
함수는 입력값을 설정할 수 있고, 항상 출력값을 반환한다.
함수가 실행되다가 return을 만나면, return문에 있는 값이 변환되고 함수가 종료된다.
※ return문을 작성하지 않으면 undefined가 출력됨
함수를 선언하는 방법에는 함수선언식, 함수표현식, 화살표함수 총 3가지가 있다.
차이점에 대해 헷갈린다면 "함수선언식 vs 함수표현식 vs 화살표함수"로 구글링해보자.
조건문이란 어떠한 조건을 판별하는 기준을 만드는 것이다.
조건문에는 반드시 비교연산자(comparison operator)가 필요하다.
비교의 결과는 늘 Boolean, 즉 true 혹은 false로 표출된다.
다음은 if문에서 false로 변환되므로, if 구문이 실행되지 않는다.
오늘의 한줄
첫 페어프로그래밍이 무사히 끝났다..내일은 더 여러 방향으로 오류를 겪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