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seFloat('Number')
: 문자열을 실수로 바꾸는 함수
ㄴ 수가 아닌 문자로 시작하면 NaN을 반환한다.
parseInt('Number', n)
: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는 함수
ㄴ 문자열 숫자를 n진법일 때의 값으로 바꾼다. n은 옵션으로 2부터 36까지 입력이 가능함. 입력하지 않으면 10으로 처리한다. 0x로 시작하면 16진법으로 처리한다.
ㄴ 문자열의 처리는 parseFloat()과 거의 같다.
어제부터 오늘까지 페어와 함께 주어진 계산기 구조에 내부 함수를 작성하는 과제를 진행했다.
Bare Minimum Requirements / Advanced Challenges / Nightmare 난이도로 나뉘어져있었고 과제 기준은 Bare Minimum Requirements 까지만 완성해서 제출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첫날에 Bare Minimum Requirements인 한자릿수끼리의 사칙연산 기능을 구현했고 중급, 상급 단계에도 도전해보기로 했다.
Advanced Challenges와 Nightmare 문제는 2자릿수 이상의 정수 사칙연산과 소수점 구현 및 실수 계산이 가능하도록 계산함수 수정과 Edge Case 대비 기능 개선 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였고.. Bare Minimum Requirements 난이도에 비해 훨씬 어려웠다..ㅜ
페어와 Advanced Challenges까지는 성공했으나, Nightmare까지는 결국 해결하지 못했다. 혼자서라도 Nightmare 기능까지 구현한 뒤에 코드스테이츠에서 제공된 레퍼런스와 비교해 볼 생각이다. 포기하지 않으리라..! 편리하기만하던 계산기가 이렇게 원망스러울줄 몰랐다..그래도 간단한 계산기능이지만 지금까지 배운 것을 적용해서 무언가의 기능을 만들어낸다는 것이 신기하고 즐거웠다.
오늘의 한 줄
모든 기능 구현에 예쁘기까지한 계산기를 만들어내리리라...! 포기하지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