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과 값 그리고 문..
예를 들어, 1 + 1 = 2의 계산이 있으면 1 + 1은 식이고 2는 값이다. 그리고 사이에 있는 = 은 문이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값과 식으로 이루어져 있고 식은 문을 지나 값이 된다. 즉, 식은 반드시 값이 된다. 문의 역할은 값을 바꿔주는 역할 혹은 실행의 흐름을 결정해준다.
하드디스크에 있는 정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하고 이 변경이 메모리(RAM)에 저장된다. 이 단계를 적재(Feche)한 후, REM에서 CPU로 한줄씩 전달한다.
브라우저로 생각해보자 !
브라우저에는 js엔진이 있다(CPU역할). 네트워크 망을 통해 하드디스크(물리적인 서버(소스타임))에 있는 js파일을 요청하고 하드디스크에서 js를 전송한다. 네트워크 망을 통해 브라우저에서 받아서 실행(run)한다. 이렇게 실행되고 있는 시간은 runtime이고 프로그래밍 언어가 동작하는 환경이라 할 수 있다.
숫자number = 123,
문자string = 쿼테이션, 어퍼스트로피, 백틱으로 감싸진 형태
불리언boolean = true, false 참과 거짓 2가지의 값
Null - 어떤 값이 의도적으로 비어있음
undifined - 값이 지정되어있지 않음
📌 undifined 와 null은 의도적이냐, 의도적이지 않느냐로 구분한다.
object (객체 데이터) { key : value } 형태로 저장되는 데이터의 집합
array (배열 데이터) [ ] 여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
변수 - 데이터를 저장하고 참조하는 데이터의 이름 var, let, const
let - 재사용이 가능하며 변수를 선언한다. 값(데이터)의 재할당 가능.
const - 상수를 선언한다. 값(데이터)의 재할당 불가.
예약어 -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 변수나 함수 이름 등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어 ( this, if, break 등 )
함수function - 특정 동작(기능)을 수행하는 일부 코드의 집합
함수를 선언할때 호출되는 부분에서 들어가는 데이터가 인수argument,
받은 데이터를 함수에서 받아줄 변수를 매개변수parameter라 한다.
📢 예시)
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console.log(add(2, 5));
add 함수에 넣을 값 2와 5가 Agument, 함수 안으로 들어가 값을 받는 a와 b가 Parameter가 된다.
객체 안에 하나의 함수를 표현(익명함수)하고 있는 변수
Document Object Model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웹사이트가 동작하기위해서 입력하는 프로그래밍 명령
Document(HTML) = 자바스크립트에서 HTML을 제어하는 여러가지 명령들